육선생유고 ()

목차
관련 정보
육선생유고
육선생유고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 박팽년 · 성삼문 · 이개 · 하위지 · 유성원 · 유응부 등 사육신 6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8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 박팽년 · 성삼문 · 이개 · 하위지 · 유성원 · 유응부 등 사육신 6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58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3책. 목판본.

박팽년의 7대손 숭고(崇古)가 사육신의 유문을 모아 편집하고, 충청도관찰사 이경억(李慶億)이 1658년(효종 9)에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경(趙絅)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상헌(金尙憲)·이경억·박숭고가 쓴 3편의 발(跋)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 ≪박선생유고≫는 박팽년의 문집으로 시 29수, 부(賦) 1편, <청늠양유기아전 請廩養遺棄兒箋>·<우잠 愚箴>·<팔준도송 八駿圖頌>·<왕세자봉책문 王世子封冊文>·<팔가시선서 八家詩選序>·<사궤장시서 賜几杖詩序>·<무본재시권서 務本齋詩券序>·<김교관시권서 金敎官詩券序>·<삼절시서 三絶詩序>·<송일본석문계사환시서 送日本釋文溪使還詩序>·<삼소도서 三笑圖序>·<익재선생수친시권서 益齋先生壽親詩券序>·<사가정시권후서 四佳亭詩券後序> 등 서(序) 25편, <비해당기 匪懈堂記>·<송죽헌기 松竹軒記> 등 기 6편, <최직제학귀전시권발 崔直提學歸田詩券跋>, <수마설 瘦馬說>, <답비해당서 答匪懈堂書>, <사직장 辭職狀>, <걸군장 乞郡狀>이 실려 있다.

권2 ≪성선생유고≫는 성삼문의 문집으로, 권두에 신익성(申翊聖)의 발문, 권말에 윤유후(尹裕後)의 발문이 있다. 시 93수, <매죽헌부 梅竹軒賦>·<집현전진팔준도전 集賢殿進八駿圖箋>·<연찬 蓮贊>·<송죽설월도찬 松竹雪月圖贊>·<동자습서 童子習序> 등이 있다.

또, <팔가시선서 八家詩選序>·<매은정시인 梅隱亭詩引>·<봉송시강예선생사환시발 奉送侍講倪先生使還詩跋>·<가성설 可成說>·<좌참찬안문숙공비명 左參贊安文肅公碑銘>·<좌참찬윤공간공비명 左參贊尹恭簡公碑銘> 등이 있다.

권3의 ≪이선생유고≫는 이개의 문집으로, 시 23수와 <팔가시선서 八家詩選序>, <무계정사기 武溪精舍記>, <이요루기 二樂樓記>가 있다. ≪하선생유고≫는 하위지의 유집으로 시 8수와 <사좌사간소 辭左司諫疏>, <권농교서 勸農敎書>가 실려 있다.

≪유선생유고 柳先生遺稿≫는 유성원의 유집으로, <송별>이라는 시 1수와 <유미사송최선생 有美辭送崔先生>, <의금부제명기 義禁府題名記>, <수양대군공신교서 首陽大君功臣敎書>가 있다. ≪유선생유고 兪先生遺稿≫는 유응부의 문집으로, 시 1수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의 <육선생사실 六先生事實>에는 사육신에 관련된 이야기를 여러 전적에서 뽑아 인물별로 실었다. 대개 ≪추강기사 秋江記事≫·≪치재일기 恥齋日記≫·≪동각잡기 東閣雜記≫·≪오음집 梧陰集≫·≪용재총화≫·≪패관잡기≫·≪석담일기 石潭日記≫·≪지봉유설≫·≪여헌집 旅軒集≫ 등을 참고하여 뽑았다.

이 책은 사육신의 시문을 한 책으로 모은 유일한 자료이다. 국립중앙도서관·단국대학교 동양학도서실·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참고문헌

『국역 육선생유고』(박팽년 외 저, 조동영 역, 민족문화추진회, 199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