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필사본. 권1은 부(賦) 2편, 시 2수, 서(書) 22편, 문(文) 4편, 행장 2편, 부록의 권1에 유서(諭書)·제문·기(記)·가전(家傳) 등 20편, 권2는 장덕록(狀德錄) 3편, 영모록(永慕錄) 1편, 권3은 행장·묘지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의 저술은 많지 않으며, 부록은 그의 행적에 관하여 공사문적들에서 발췌, 수록한 것이다. 부록에 있는 <육우당기>는 새로 당을 지어 그 이름을 육우당이라고 한 것은 납매(臘梅)·추국(秋菊)·연(蓮)·죽(竹)·월계(月桂)·종려(棕櫚)를 벗하였기 때문이라는 내용이다.
<이효행장정예조문 以孝行狀呈禮曹文>은 용인 유생이, <경유통문 京儒通文>은 박행의(朴行義) 등 19인이 연명으로, <재정예조문 再呈禮曹文>은 이정(李禎)이 각각 조정에 올린 서신이며, 모두 조위수의 효행에 대한 포상을 청하는 글이다.
<영모록>은 14대조부터 저자에 이르기까지의 가계를 밝히고 그의 생애를 상세히 서술한 것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