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창 ()

목차
인문지리
지명
전라남도 영광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아로현(阿老縣), 가위(加位), 하로(何老), 곡야(谷野), 갈초현(葛草縣), 갈도현(碣島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영광 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백제의 아로현(阿老縣, 또는 加位ㆍ何老ㆍ谷野ㆍ葛草縣) 이었는데, 신라의 영토가 된 뒤 757년(경덕왕 16) 갈도현(碣島縣)으로 고쳐 압해군(壓海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육창으로 고쳤고, 유비니도(有比尼島)ㆍ조도(曹島)ㆍ신위도(神葦島)ㆍ청도(靑島)ㆍ독도(禿島)ㆍ백민도(白民島)ㆍ자은도(慈恩島)ㆍ앵도(櫻島)ㆍ취도(鷲島)ㆍ내파도(乃破島) 등을 귀속시켰다.

1018년(현종 9) 영광군의 속현으로 하였는데, 『여지도서』에 육창향(陸昌鄕)으로 기록되었다. 조선 말기까지 외간면(外間面)ㆍ육창면(六昌面)ㆍ마산면(麻山面)으로 남아 있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군남면으로 통합되었다.

육창의 지명유래는 아로와 같은데 아로는 ‘넓은 들’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이는 이 지역이 산지에 둘러싸인 해안평야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는 해안지방에 차음산봉수(次音山烽燧)가 있었고, 영광에서 이곳을 거쳐 향화진(向化津)에 이르는 도로가 발달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한국고대국명지명연구(韓國古代國名地名硏究)』(이병선, 형설출판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