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서촬요 ()

목차
관련 정보
융서촬요
융서촬요
국방
문헌
1867년 신관호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군서. 병서.
목차
정의
1867년 신관호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군서. 병서.
내용

5책. 필사본. 현재 남아 있는 것은 제1책(2권)뿐이다. 책머리의 목록 다음에 실려 있는 저자의 형 갈봉노초(葛峰老樵)가 쓴 서(序)에 의하면, 이 책의 실제 저자는 병인양요 때 중임을 맡았던 무신이었다.

그는 프랑스군의 침입을 맞이하여 전국이 경동(警動)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것은 평소에 대비가 없었던 때문이라고 보고, 훈련대장 신관호를 찾아 대책을 의논하였다.

그 때 신관호가 저자에게 ≪무경총요 武經摠要≫·≪등단필구 登壇必究≫·≪해국도지 海國圖志≫ 등 중국의 병서를 내어주면서 연구를 권하였다.

이에 따라 저자가 이들 병서에서 장수(將帥)·영진(營陣)·기정(奇正)·기계(機械)에 관한 요긴한 대목만을 간추려서 책으로 엮고, 여기에 저자의 형이 약간의 안설(案說)을 붙여 책을 완성하게 되었다.

권1은 택장(擇將)·임장(任將)·장직(將職)·용인(用人)·삼재수용(三才隨用)·삼재응변(三才應變)·선모(先謀)·선승(先勝)·승패(勝敗)·임세(任勢)·기정복(奇正伏)·왜지용병(倭知用兵)·지간(知奸)·정혹(定惑)·토병(土兵)·향병교습(鄕兵敎習)·예비(豫備)·훈련(訓鍊)·충애(忠愛)·돈목(敦睦)·신의(信義)·감전(敢戰)·수법(守法)·근습(勤習)·장단(長短)·질사법(迭射法)·연담(鍊膽)·연방향(鍊方向)·연이목(鍊耳目)·연심(鍊心)·연수족(鍊手足)·연기예(鍊技藝)·연항오(鍊行伍)·편오법(編伍法) 등 34항목으로 되어 있다.

또한 권2에는 교전(敎戰)·군범(軍範)·군령약속(軍令約束)·군서(軍誓)·준호령(遵號令)·호령설(號令說)·약속(約束)·전약(戰約)·전후약(戰後約)·상벌(賞罰)·영진조례(營陣條例)·용간(用間) 등 12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각 항목의 설명에는 ≪무경총요≫·≪열국지 列國志≫·≪연병실기 鍊兵實記≫ 등 중국의 역대 주요 병서와 유성룡(柳成龍)의 ≪서애집 西崖集≫ 등 우리 나라의 문헌 등을 널리 인용하였다.

설명내용은 그다지 상세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장수의 선임과 지휘의 원칙, 군사의 정신훈련, 군령 등에 비중을 두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같은 해에 간행된 ≪민보집설 民堡輯說≫ 등과 함께 병인양요 직후의 군비강화책과 군사사조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