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화식물지 ()

현대문학
문헌
장학사에서 함윤수의 시 「축연」 · 「시간」 · 「밤」등을 수록하여 1940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장학사에서 함윤수의 시 「축연」 · 「시간」 · 「밤」등을 수록하여 1940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36면. 1940년 동경의 장학사(奬學社)에서 발간하였다. 작자의 제2시집으로 서문이나 발문은 없이 「축연(祝宴)」·「시간」·「밤」·「꿈」·「암영(暗影)」·「역사」·「복수(復讐)의 여신」·「성찬(聖餐)」·「장송곡」·「우상」·「장미」·「수선화」 등 12편이 실려 있다.

내용

서두시 「축연」에서 “대리석처럼 차디찬 절망· 객혈 속의 선언서를 읊으며 춤을 추는 두개골· 분묘(墳墓)의 구원(久遠)의 잠마저 믿지 못하는 망령이여.”라고 노래하고 있듯이, 이 시집에 실린 대부분의 작품에서 ‘죽음’·‘무덤’·‘절망’·‘망령’ 등의 시어나 이미지로 표상되는 시세계는 어둡고 우울한 색조를 띠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러한 인생의 허망과 어둠을 노래하는 한편, 꿈과 광명을 추구한 것이 수록시편들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학사』하(김용직, 학연사, 1987)
『한국현대문학사』(조연현, 인간사, 1963)
『조선신문학사조사-현대편-』(백철, 백양당, 194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