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묘천서 ()

목차
관련 정보
천도교
문헌
조선후기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하기 전에 경험한 신비체험에 대하여 서술한 천도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하기 전에 경험한 신비체험에 대하여 서술한 천도교서.
내용

이에 관한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최제우는 오랫동안 떠돌아다니다가 나이 30세를 전후하여 처자와 만나 울산으로 이주하여 속유곡동이라는 곳에 초가집을 한 채 마련하고 살고 있었다.

그러던 중 1858년(乙卯) 어느 봄날 최제우가 방안에서 책을 읽고 있었는데 낯선 승려가 찾아와 “저는 금강산에서 온 중인데 뜻한 바가 있어서 백일 동안 치성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치성을 끝내는 날 탑 위에 이상한 책이 한 권 있었습니다. 얼른 펴보니 이해할 수 없는 아주 이상한 책이었습니다. 저는 이 책을 해석할 사람을 찾아 사방을 두루 돌아다녔지만 아직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오늘 우연히 선생님을 뵙고 느낀 바가 있어 이 책을 올리겠습니다. 부디 이 책의 뜻을 풀어주십시오.”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최제우가 그 책을 받아 펴보니 과연 세상에서 볼 수 없는 이상한 책이었다. 그는 사흘 뒤에 오면 그 뜻을 풀어줄 것이라고 말했다. 사흘 뒤에 과연 그 승려가 다시 찾아왔다. 최제우는 사흘 동안 연구한 그 책의 뜻을 잘 풀어 주었다.

그러자 그 승려는 매우 기뻐하면서 “선생님은 세상에서 찾아볼 수 없는 훌륭한 분입니다. 부디 자중하십시오.”라고 말하였다. 그런데 말을 마치고 돌아서자마자 간 곳이 없었다. 또한 돌이켜 보니 그 책도 간 곳이 없었다고 한다.

그러므로 본서는 실존하는 책이 아니며, 이 이야기 역시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발생한 역사적 사건이라 말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것은 최제우가 수도 생활 도중에 겪은 일종의 종교적 체험으로서, 최제우의 종교적 성향과 동학의 초기 성격을 해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최제우는 본서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서 하느님에게 정성을 드림으로써 하느님의 뜻을 직접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는 믿음을 입증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또한 불교 승려를 등장시킴으로써 자신이 하느님으로부터 받은 도가 기존의 유교나 불교와는 다른 것으로 이들보다 더 우월한 것임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이런 이야기들은 신종교 지도자들이 자신의 교단을 세우는 초창기에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지도자의 종교적 카리스마와 신비한 능력을 보여주는 구실을 한다.

참고문헌

『천도교서』(박인호, 천도교중앙총부, 1921)
『동학의 사상과 운동』(최동희, 성균관대 출판부, 1980)
『동학·천도교』(유병덕 편, 시인사, 198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