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병록 ()

목차
관련 정보
을병록
을병록
근대사
문헌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의병장 안창식과 안병찬이 홍주의진을 결성하여 활동한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일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의병장 안창식과 안병찬이 홍주의진을 결성하여 활동한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일기.
내용

38장의 필사본. 간호일기(艮湖日記)와 규당일기(葵堂日記)로 나뉘어 있다. <간호일기>는 안창식의 일기로 1895년 4월부터 1896년 1월 5일 그가 홍주감옥에서 풀려나온 사실까지 기록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그가 1895년 4월 광천(廣川)에서 의병 봉기를 시도하고, 5월 박창로(朴昌魯)·이세영(李世永)·정제기(鄭濟驥) 등과 청양에서 의병봉기를 계획, 추진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을미사변 직후에는 무기 수집과 의병 모집에 착수했으며, 1895년 11월 28일 이인영(李麟榮)의 집에서 향회(鄕會)를 실시하고 의병을 모집한 일, 그리고 이 부대가 주축이 되어 홍주성을 점령하고 홍주의진을 결성한 일 등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규당일기>는 1895년 8월 20일 민비시해로부터 시작되어 1896년 3월 3일까지의 안병찬의 일기이다. 고등재판소에서 있었던 김복한(金福漢)을 비롯한 ‘홍주육의사’의 공초내용과 판결문이 실려 있으며, 1896년 2월 28일 훈령에 따라 석방되어 귀향한 내용과 선유사 신기선(申箕善)의 보고 내용도 수록되어 있다.

특히 11월 27일부터 시작된 의병 준비에 관한 기록과 관찰사 이승우(李勝宇)의 배신으로 의병진이 와해되고 주도자 23명이 붙잡혀 구금당하였으며, 감옥에서 그가 자결을 기도한 일 등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을병록>은 1985년 7월 후손 선영(璇永)이 공개해 알려졌으며, ≪홍주의병실록 洪州義兵實錄≫에 전재되어 널리 알려졌다.

참고문헌

『홍주(洪州)의병실록』(송용재, 홍주의병유족회, 1986)
「1895∼1896년 홍주의병(洪州義兵)의 사상적 연원과 전개」(김상기, 『윤병석교수화갑기념한국근대사논총』, 지식산업사, 199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