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경 ()

목차
관련 정보
음경
음경
언어·문자
문헌
국어학자 권정선이 한글 자체(字體)를 역학 및 운학(韻學)의 견지에서 풀이하여 저술한 학술서. 한글연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국어학자 권정선이 한글 자체(字體)를 역학 및 운학(韻學)의 견지에서 풀이하여 저술한 학술서. 한글연구서.
내용

책 이름은 처음에는 ‘정음종훈(正音宗訓)’이라고 하였다가 ‘정음경(正音經)’으로 고치고, 다시 ‘음경’으로 고친 것으로 추정된다.

1916년에 장지연(張志淵)에게 보인 초고가 그의 서고 안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1957년 청구대학(靑丘大學) 국어국문학회에서 간행하였다. 부록으로 개정록(改正錄)·만국등운합도(萬國等韻合圖)·범례기조(凡例幾條)·정음박사전(正音博士傳)·여위암서(與韋庵書)·우여위암서(又與韋庵書) 등이 있다.

필자는 한글연구에 상당히 힘을 기울여 역학 및 중국 음운학에 바탕을 둔 조선시대 국어학의 전통을 최후로 계승한 학자였다.

저자가 한글을 연구하게 된 동기는 당시의 시대적 사조인 국문애용열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으나 연구방법은 전통적인 역학 및 운학에 의거한 것이었으며, 연구목적도 한글의 진수를 밝혀서 내외국인으로 하여금 바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천하의 준거가 되게 하는 데 있었고, 또 외국어의 벽음(僻音)까지도 표기할 수 있도록 한글의 기본원리를 고찰하여 필요한 신자모자(新字母字)를 더 만들자는 데 있었다.

≪음경≫은 자서(自序)·정음원서(正音原書)를 비롯하여 초성신석(初聲新釋)·중성신석병도설(中聲新釋並圖說)·종성신석(終聲新釋)·합음도설(合音圖說)·등운도설(等韻圖說)·자모론(字母論)·반절론(反切論)·사성론(四聲論)·정음론(正音論)·성음론(聲音論)·문자론(文字論)·율려론(律呂論) 등 12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영조 때 운학자인 이사질(李思質)의 ≪훈음종편 訓音宗編≫을 참고로 한 내용이 많다.

한글의 자형(字形)을 이사질의 설에 따라 원방반절상형설(圓方反切象形說)로 설명하였다. 즉 모든 한글의 자형은 천지(天地)의 기본인 원(○)과 방(□)의 절단(切斷)으로 되었는데, ○과 □이란 입과 혀를 펴거나 오므리는 형상을 상징하는 것이다.

○□의 변용이 ○ㅡ인데 중성글자의 기본이 된다. ○□에서 초성글자가 생겨난다고 하였고, 중성글자는 천(天○)·지(地ㅡ)·인(人ㅣ) 삼재조화설(三才造化說)에 의하여 ○을 축(縮) ○, ㅡ를 축 □, ㅣ를 반(反) ㅡ라 해서 기본을 삼았다.

그리고 새로운 글자들을 많이 제시하는등 새로운 자형을 추가하도록 주장하였다. 또 ‘토음사칙(吐音四則)’이라 해서 국어의 조사에 관하여 언급한 부분이 있다.

참고문헌

『신고국어학사(新稿國語學史)』(유창균, 형설출판사, 1969)
『신국어학사(新國語學史)』(김민수, 일조각, 1980)
「권정선(權靖善)의 음경(音經)을 통해서 본 국어학자의 의식구조 모색」(김석득, 『인문과학』 29, 연세대학교, 1973)
「주시경(周時經)이 권정선(權靖善)에게서 받은 영향」(권재선,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