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갑을리 보리사지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통일신라시대 금동불의 양식적 특징을 잘 보여 주는 불상이다. 현재 광배는 결실되었으나 대좌와 불신은 비교적 손상이 적고 잘 보존되어 있다.
얼굴은 둥근 편으로 이목구비의 각선(刻線)이 뚜렷하다. 약간 고개를 숙이고 눈을 감은 모습이 선정(禪定)에 든 듯한 고요하고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솟았는데 거의 정삼각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표현되어 전체적으로 머리가 높게 보인다.
몸에는 통견(通肩)의 옷을 걸치고 있으며, 대의 안으로 비스듬히 군의(裙衣)와 그것을 묶은 띠 매듭이 선각되었다. 대의는 배 부근에서부터 다리 아래까지 부드러운 U자형 곡선을 이루고 있다. 양쪽 자락은 두 팔에 걸쳐 신체의 윤곽선을 따라 흘러내리고 있다. 두 손은 다소 손상되었으나 시무외(施無畏)·여원인(與願印)을 결(結)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대좌는 불신(佛身)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편이다. 8면에 안상(眼象)이 투각(透刻 : 뚫새김)된 받침대 위에 높직한 족좌(足座)가 놓였다. 대좌의 기본 형태는 통일신라 금동불대좌의 일반적인 형태와 유사하다. 하지만 앙련(仰蓮)과 복련(覆蓮)이 조각되지 않고 극히 간단한 선으로 꽃잎의 끝 부분만을 표현하는 등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단순한 모습을 보여 준다.
고개를 약간 숙이고 명상에 잠긴 듯한 부드럽고 고요한 표정이라든지 선각으로 간결하게 묘사한 옷주름, 각선이 거의 배제된 단순한 대좌의 모습 등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단순한 미를 보여 주는 작품이다. 9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