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백제의 두이현(豆伊縣, 또는 杜城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두성으로 고쳐 전주의 영현으로 하였다. 940년(태조 23) 이성으로 바꾸었고, 현종 때도 그대로 전주에 속하게 하였다.
이성에는 이동(伊東) · 이서(伊西) · 이남(伊南) · 이북(伊北)의 4개면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이서면을 중심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성이라는 지명의 유래는 이(伊)가 두(豆)와 같은 뜻으로 ‘크다’는 뜻을 가지므로 ‘큰 고을’이라는 데서 나왔다.
이 지역은 만경강 상류 지역을 차지하는 교통의 요지로 교통상 중요한 곳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전주에서 율포(栗浦)에 이르는 길목에 있었는데, 남쪽으로 금구 · 김제와 통하고 북쪽으로 익산ㆍ고산 등지와 연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