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구 ()

양와집
양와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상의원첨정, 홍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수옹(壽翁)
양와(養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6년(인조 24)
사망 연도
1700년(숙종 26)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상의원첨정(尙衣院僉正)|홍주목사|영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상의원첨정, 홍주목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수옹(壽翁), 호는 양와(養窩). 이항복(李恒福)의 증손이며, 아버지는 성주목사 이시현(李時顯)이다. 박장원(朴長遠)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3년(현종 1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85년(숙종 11)에 음보(蔭補)로 경양도찰방(景陽道察訪)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였다. 그 뒤 1695년 다시 추천을 받아 예산현감에 임명되고, 1697년 장령을 거쳐 서연관(書筵官)·상의원첨정(尙衣院僉正)·홍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경학(經學)·예설(禮說)·역사 등에 걸쳐 박통하였다. 『대학』의 물격설(物格說)에 대하여 이황(李滉)과 이이(李珥)의 해석이 모두 정주(程朱)와 다르다고 반박하고, 정심장(正心章)에 대해서도 이황의 해석에 비판을 가하였다. 기해예설에 관해서는 비교적 객관적인 견해를 보였다.

여러 학설을 집대성하여 『가례』를 독자적으로 주석하였다. 역사에도 밝아 한사군과 삼한의 위치를 논증하는 글을 남겼다. 박세채(朴世采)·윤증(尹拯)·남구만(南九萬)·최석정(崔錫鼎) 등 소론에 속하였던 학자들과 학문적 교류가 있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홍주의 혜학서원(惠學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양와집(養窩集)』 13책이 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사마방목(司馬榜目)』
『양와집(養窩集)』
『전고대방(典故大方)』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