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목판본. 일명 ‘어정이진총방(御定肄陣總方)’이라고도 한다. 1843년(헌종 9)에 중간되었다.
이 책은 출시(出示)·열성항오(列成行伍)·입장(入場)·소개문(小開門)·승단(升壇)·승기(升旗)·초총령(招總領)·청발방(聽發放)·순시발방(巡視發放)·총령하지방(總領下地方)·개영행(開營行)·분로(分路)·열진(列陣)·전층제방(前層齊放)·후층출전(後層出戰)·후층제방(後層齊放)·전층출전(前層出戰)·양층구출(兩層俱出)·간화첩퇴(間花疊退)·하방영(下方營)·발초급(發樵汲)·사공죄(査功罪)·수초급(收樵汲)·취반(炊飯)·사면조(四面操)·별진호령(別陣號令)·수영(收營)·사조(謝操)·산조(散操)·낙기(落旗)·분련(分練)·야조(夜操) 등 32항으로 나누어 조련절차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그 순서는 ≪병학지남 兵學指南≫의 장조정식(場操程式) 및 야조정식(夜操程式)과 유사하다. 책의 후반부에는 양의진도(兩儀陣圖)·삼재진도(三才陣圖)·입교장열성항오도(入敎場列成行伍圖)·청도도(淸道圖)·기고대상파열도(旗鼓臺上擺列圖)·총령청장호적인출마로도(總領聽掌號笛引出馬路圖)·총령도대하정립도(總領到臺下定立圖)·총령평렬청발방도(總領平列聽發放圖)·개영행도(開營行圖)·분이로행영도(分二路行營圖) 등 조련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각종 작진법(作陣法)을 도시하였다.
그 밖에 분사로행영도(分四路行營圖)·행영전신향후도(行營轉身向後圖)·일로행우경렬진도(一路行遇警列陣圖)·이로행우경렬진도(二路行遇警列陣圖)·사로행우경렬진도(四路行遇警列陣圖)·후층출전도(後層出戰圖)·전층출전도(前層出戰圖)·양층구출오전도(兩層俱出鏖戰圖)·개화누퇴도(開花壘退圖)·발기입표도(發旗立表圖)·일로행렬변위방영도(一路行列變爲方營圖) 등이 실려 있다.
또한 이로행렬변위방영도(二路行列變爲方營圖)·사공죄발방도(査功罪發放圖)·일총방진도(一總方陣圖)·일령방진도(一領方陣圖)·방영일면윤방도(方營一面輪放圖)·변위이층전신향후도(變爲二層轉身向後圖)·개열진이로행도(開列陣二路行圖)·원진도(圓陣圖)·직진도(直陣圖)·예진도(銳陣圖)·곡진도(曲陣圖)·현무진도(玄武陣圖)·육화진도(六花陣圖)·구군진도(九軍陣圖)·팔진도(八陣圖)도 실려있다.
그 수록순서와 그림의 내용에 있어서 ≪병학지남≫의 것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편, ‘계묘신간이진총방내부장판(癸卯新刊肄陣總方內府藏板)’이라는 표제지가 있는 ≪이진총방≫이 전해져 오고 있는바, ≪어정이진총방≫에 비하여 수록된 진도의 수가 적고 야조에 관한 사항이 빠져 있는 등 그 내용이 극히 소략하다. 장서각도서·규장각도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