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물포구락부 ())

건축
유적
문화재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외국인들의 사교모임 장소로 건립된 건물. 서양식건물. 시도유형문화재.
이칭
이칭
인천문화원, 정방각(精芳閣), 일본부인회관(日本婦人會館), 미군사병구락부(美軍私兵俱樂部)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인천광역시
종목
인천광역시 시도유형문화재(1993년 07월 06일 지정)
소재지
인천광역시 중구 자유공원남로 25 (송학동1가, 제물포구락부)
정의
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외국인들의 사교모임 장소로 건립된 건물. 서양식건물. 시도유형문화재.
개설

제물포 구락부는 1901년(광무 5)에 인천에 거주하던 외국인들의 사교모임 장소로 사용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일명 제물포 구락부회관(濟物浦俱樂部會館)이라고 한다. 1913년 일본제국 재향군인회 인천연합회 소속의 정방각으로 불리다가, 1934년 일본부인회, 광복직후에는 미군사병구락부, 1952년부터는 시의회, 교육청, 박물관이 함께 사용하는 등 여러 차례 용도로 변경되었다. 인천광역시 중구 송학동에 위치하며, 1993년 7월 6일에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내용

이 건물은 1876년(고종 13) 병자수호조약(丙子修好條約, 일명 江華島條約)으로 제물포항이 개항된 후, 인천에 거주하는 독일·미국·러시아·일본 등 외국인이 1891년(고종 28) 사교구락부(社交俱樂部)를 발족시킴으로써 건립되었다.

원래 사교구락부의 건물은 다른 곳에 있었으나, 1901년(광무 5)에 현재의 건물을 짓고 회관을 이곳으로 옮겼다. 2층 양옥 구조의 벽돌 건물로 지붕은 양철이다. 내부는 사교실·도서실·당구대·식당 등 각종 시설을 두루 갖추었으며, 건물 외부에 당시로는 드물게 테니스 코트를 설치하는 등 사교 모임에 적합한 시설로 꾸며졌다.

1910년 한일합방을 전후하여 한국이 일제의 독점적인 식민지가 되면서 각국 거류지가 철폐됨에 따라, 이 건물은 1913년 일본재향군인 인천연합회(日本在鄕軍人仁川聯合會)로 이관되었고, 그 명칭도 정방각(精芳閣)으로 바뀌었다. 그 후 일본 거류민 증가와 더불어 일본 부인들의 친목단체가 결성됨으로써 1934년에는 일본부인회관(日本婦人會館)으로 사용되었다.

해방 후 미군정기(美軍政期)에는 미군사병구락부(美軍私兵俱樂部)로 사용되는 등 한국 근·현대사의 파란만장한 격동과 더불어 많은 애환을 간직한 건물이다. 1952년 7월 미군으로부터 인수하여 인천시립박물관(仁川市立博物館) 설립을 위한 건물로 사용되었고, 잠시 동안은 인천시협회(仁川市協會)의 회의실과 인천시교육원(仁川市敎育院)의 청사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1953년 4월 1일 인천시립박물관 개관과 더불어 인천박물관으로서 활용되는 등 ‘박물관 건물’이라는 명칭을 얻었으나, 1980년대에 새로운 인천시립박물관이 개관하면서 박물관 시대를 마감하였다. 2007년 6월 리모델링 작업을 거쳐 구)제물포구락부의 모습을 복원하여 스토리텔링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건물은 특별한 건축 양식이나 구조상의 특징은 없다. 다만 인천광역시의 발달로 서양식 건물이 대부분 사라지는 현실에서 개항 이후 건축물을 통한 인천 지역의 변화상을 직접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참고문헌

『경인문화재총람』(경인일보사, 1996)
『향토인천』(인천직할시, 1988)
문화재청(www.cha.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