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문소나무 (소나무)

목차
식물
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곡산군 동산리에 있는 소나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곡산군 동산리에 있는 소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83호. 소나무가 동산리 정계동 입구에서 자라고 있으므로 입문소나무라고 부른다. 1690년경부터 자랐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마을 사람들이 휴식처로 활용하고 있다.

주변의 토양은 현무암지대에서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며 자갈이 많은 모래메흙으로서 토양습도는 적당하다.

입문소나무는 모두 다섯 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3그루는 3m 간격으로 남북을 향하고, 한 그루는 5m 간격으로 북쪽에 위치하고, 한 그루는 20m쯤 남쪽에 떨어져 있다. 가장 큰 나무는 뿌리목 둘레가 3.64m이고 가슴높이 둘레가 2.85m이며, 가장 작은 나무는 뿌리목 둘레가 2.5m이고 가슴높이 둘레가 1.8m이며, 평균 높이는 15m이다.

가지는 원줄기의 중앙부에서 자라고 나무들이 엇비슷하게 서 있어서 나무의 모양이 버섯같이 보인다. 마을의 풍치수로서 보호되어 왔다.

참고문헌

국가지식포럼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