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 ()

연극
단체
1970년에 소극장운동을 지향하며 창단된 극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70년에 소극장운동을 지향하며 창단된 극단.
설립목적

극단 작업(作業)은 기성연극의 안이한 연극태도와 인습 및 한계를 지양하여 연극이론에 대한 학구적 토론과 소극장운동을 펴나갈 것을 창립목표로 삼았다. 이 극단은 연출가 길명일(吉明一)을 중심으로 박민호(朴敏鎬)·조병진(趙炳珍)·최융부(崔隆夫)·하대경(河大炅)·신동근(申東根)·한아(韓兒)·박영애(朴榮愛)·유근옥(柳根玉)·조한낭(趙漢娘) 등의 젊은 연극인들로 구성되었다.

연원 및 변천

작업은 창립공연으로 핀터(Harold Pinter) 작·길명일 연출 「덤 웨이터(The Dumb Waiter)」를 공연하였으며, 이오네스코(Eugene Ionesco) 작·조병진 연출「왕은 죽어가다」·「벙어리 아내를 가진 판사」·「관리인(管理人)」·「어항(魚缸)」, 몰리에르(Moliere) 작 「스카나렐」, 와일더(Wilder) 작「90년간의 만찬」, 이언호(李彦鎬) 작「타의(他意)」, 몰리에르 작 「팔자 좋은 의사선생」, 핀터 작「요리승강기(料理昇降機)」, 소포클레스(Sophocles) 작·조우현(趙宇鉉) 역「오이디프스왕」, 김춘수(金春洙) 작「닻을 내리다」, 이오네스코 작·민희식(閔憙植) 역「베랑제 1세 사라지다」, 한스귄터 미헬젠(Hans Gunter Michelsen) 작·김충남 역「헬름」, 체홉(Chekhov) 작·백광남(白光男) 역「벚꽃동산」, 하인리히 뵐(Heinrich Boll) 작·김창활(金昌活) 역「잠적」, 카프카(Franz Kafka) 작「성(城)」, 한트케(Peter Handke) 작·양혜숙(梁惠淑) 역 「관객모독」, 헤르만 헤세(Herman Hesse) 작「데미안(Demian)」 등의 현대극을 주로 소극장에서 공연하였다.

한편, 이 극단은 1978년 제 2회 대한민국연극제에 김상열 작·길명일 연출「길로」, 1979년 제 3회 대한민국연극제에 전진호 작·길명일 연출「밤에만 나는 새」, 1982년 제 6회 대한민국연극제에 하유상 작·길명일 연출「사슴나비」, 1983년 제 7회 대한민국연극제에 최명희 작·길명일 연출「안개의 성」등으로 각각 참가하였다.

의의와 평가

1980년대까지 왕성하게 활동해 왔던 극단 작업은 1992년 장일홍 작·길명일 연출 「당신의 눈물을 보여주세요」 공연 이후 그 활동 기록을 찾을 수 없지만, 1970, 80년대에 다양한 현대극을 공연하며 소극장 운동에 기여하였던 단체이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우리연극 100년』(서연호·이상우, 현암사, 2000)
『한국연극 93』(한국연극협회,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