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련 ()

목차
인문지리
지명
황해도 은율지역의 옛 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황해도 은율지역의 옛 지명.
내용

본래 고려시대의 장명진(長命鎭)과 연풍장(連豊莊)이 합하여 생긴 지명이다. 고려 때에 장명진은 황주에 속하였고 연풍장은 안악에 속하였는데, 1390년(공양왕 2)에 겸감무를 두었다.

1396년(태조 5)에 장명진을 없애고 연풍에 속하게 하였다가 1414년(태종 4)에 장련현으로 하였다. 그 뒤 1895년(고종 32)에 군으로 승격되었으며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은율군으로 편입되어 장련면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구월산(九月山)에서 두개의 산줄기가 대동강 하구 쪽으로 뻗어 있었고, 이 사이를 삼파수(三派水)가 흐르면서 비교적 넓은 유역평야를 만들었다.

또한, 금음복산(今音卜山, 또는 今卜只) 봉수가 서해안지방을 남북으로 연결하였고, 교통망으로는 박산역(朴山驛)을 통하여 안악과 이어졌으며, 북쪽은 대동강의 대진(大津)을 건너 삼화에 이르게 되었다. 또한, 해안지방에는 강소창(舡所倉)이 있어 이곳의 물산을 모아 서울로 운반하였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한국지방행정사(韓國地方行政史)』(내무부, 1966)
『한국지명연혁고(韓國地名沿革考)』(권상로, 동국문화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