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63m. 현재 세검정초등학교 안에 자리하고 있다. 두 지주는 동서로 마주 서 있는데, 간주를 받던 간대(竿臺)나 받침돌이 남아 있지 않아 원래의 모습을 추정할 수는 없다.
안쪽면에는 아무런 조각이 없고 바깥면이나 옆면에도 다듬어 꾸민 흔적이 없다. 다만 바깥면의 각 변마다 모서리를 깎은 약간의 의장(意匠)만 보일 뿐이다. 정상 부분은 꼭대기가 대체로 평평하지만, 안쪽면 꼭대기에서 바깥면으로 16㎝ 정도는 활모양을 그리며 깎였다. 때문에 바깥면에서는 특별한 구조가 보이지 않지만 앞뒷면을 보면 윗부분의 한 변이 둥글거나 사다리꼴로 보인다.
당간을 고정시키는 간은 한 곳만 설치되었는데, 안쪽면 윗부분에 둥근 구멍 모습의 간구(杆溝)를 마련하여 간을 끼우도록 하였다. 대개 윗부분 한 곳에만 간을 설치하더라도 안쪽면 꼭대기에 네모난 간구를 뚫는 것이 흔한데, 그러한 양식을 따르지 않았다.
이 당간지주는 높이에 비하여 중후한 편으로, 간구 이외에는 별다른 가공을 가하여지지 않은 매우 소박한 모습의 당간지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