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고종 익선관 ( )

목차
관련 정보
전 고종 익선관
전 고종 익선관
의생활
유물
국가유산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익선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전 고종 익선관(傳 高宗 翼善冠)
분류
유물/생활공예/복식공예/관모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79년 01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209 (군자동, 세종대학교 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익선관.
개설

조선 말기 고종이 착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여 ‘전(傳)고종익선관’으로 지정된 관모 1점이다.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왕실 관련 익선관은 이 외에도 청색 · 흑색 · 자적색으로 된 3점의 익선관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영왕의 자적색 익선관(국가민속문화재, 2009년 지정)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모두 고종의 익선관과 흡사한 형태이다.

내용

모체(帽體)와 양각(兩角)이 모두 자색의 비단으로 싸여진 아주 정교한 익선관으로 높이 18㎝, 지름 17㎝의 크기이다. 모체는 사모와 같이 뒷부분이 높고 앞부분이 낮으며, 관 뒤로는 양각(兩角)이 위로 향하여 솟아 있다. 양각은 가장자리를 쇠철사와 같은 단단한 것으로 형체를 잡아 주었으며 가장자리는 검은색으로 둘러있다. 안쪽에도 자적색 비단을 씌어 주었으며 모체(帽體) 뒤에 양각의 하단(下端)을 끼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받침대가 달려 있다. 모체의 정면 중앙 좌우와 위로는 적색을 띠는 자색의 명주실 다발을 탄탄하게 꼬아 장식하였다. 모체의 내부 골격도 정교하여 모체의 하단은 지름 약 1㎝ 정도의 구멍이 고른 간격으로 뚫어져 있고, 상단은 0.5㎝가 채 못 되는 간격의 죽망(竹網)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모체의 내부 골격에 구멍을 뚫거나 망을 댄 것은 통풍이 잘되게 하여 착용자에게 쾌적감을 주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현재 익선관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인을 찾을 수 없으나 실물이 남아 있고 재료가 확인되고 있는 만큼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중요민속자료편(重要民俗資料篇) 하(下)-』(문화재관리국, 1986)
『조선시대(朝鮮時代) 궁중복식(宮中服飾)』(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