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이전 전라도 지역은 고려때 전북지방을 강남도(江南道)로, 전남지방은 해양도(海洋道)라 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이를 합하여 전라도라 하였다.
그 뒤 1407년(태종 7) 군사 행정상의 편의를 위하여 전라도, 경상도를 좌ㆍ우도로 나누었는데, 이때 전라도는 동쪽 산악지대를 좌도, 서쪽 평야지대를 우도라 하였으며, 관찰사를 따로 두지 않고 다만 병사(兵使, 병마절도사)ㆍ수사(水使, 수군절도사) 등 군사상 직제만 좌 · 우도로 나누었다.
이 좌ㆍ우도의 배치는 경기도ㆍ충청도 등에도 시행된 바 있는데 왕성에서 남쪽을 바라볼 때 전라도 지역의 좌ㆍ우측을 뜻하며, 탁지지(度支志)에 수록된 전라좌도의 고을은 남원ㆍ담양ㆍ순창ㆍ용담ㆍ창평ㆍ임실ㆍ장수ㆍ곡성ㆍ옥과ㆍ운봉ㆍ진안ㆍ무주ㆍ광주 등의 24개 고을이었다. 전라좌ㆍ우도는 1892년(고종 33)에 남ㆍ북도의 체제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