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유편 ()

목차
근대사
문헌
주제와 관련된 사항들을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유서(類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주제와 관련된 사항들을 중국의 여러 문헌에서 발췌하여 정리한 유서(類書).
내용

필사본. 편찬 시기는 미상이다. 중국의 여러 책에서 발췌해 관련 사항들을 주제별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장서각본은 16권 16책이며, 국립중앙도서관본은 20권 20책이다.

편찬 체재를 보면 장서각본은 권1∼6는 군부(君部), 권7∼10은 신부(臣部), 권11∼15는 인부(人部), 권16은 천지사물부(天地事物部)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권1은 덕화(德化) 등 18항목, 권2는 순유(巡遊) 등 10항목, 권3은 궁실(宮室) 등 13항목, 권 4는 병(兵) 등 12항목, 권5는 봉배(封拜) 등 18항목, 권6은 곤욕(困辱) 등 13항목, 권7은 충신(忠臣) 등 11항목, 권8은 지례(知禮) 등 14항목, 권9는 과거(科擧) 등 15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권10은 간신(奸臣) 등 9항목, 권11은 성현(聖賢) 등 12항목, 권12는 은일(隱逸) 등 20항목, 권13은 간민(幹敏) 등 33항목, 권14는 교오(驕傲) 등 23항목, 권15는 부자손(父子孫) 등 18항목, 권16은 천(天) 등 23항목으로 모두 262항목이다. 따라서 군부 84항목, 신부 49항목, 인부 106항목, 천지사물부 23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립도서관본은 권1∼6은 군부, 권7∼11은 신부, 권12∼19의 일부는 인부, 권19의 일부∼20은 천지사물부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권1은 덕화(德化) 등 15항목, 권2는 상서(祥瑞) 등 13항목, 권3은 궁실(宮室) 등 13항목, 권4는 구난(救亂) 등 12항목, 권5는 병(兵) 등 11항목, 권6은 망국지군(亡國之君) 등 16항목, 권7은 충신(忠臣) 등 8항목, 권 8은 간(諫) 등 12항목, 권 9는 현종실(賢宗室) 등 7항목, 권 10은 간신(奸臣) 등 6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권11은 토역(討逆) 등 13항목, 권12는 성현(聖賢) 등 8항목, 권13은 은일(隱逸) 등 13항목, 권14는 위정(爲政) 등 17항목, 권15는 능(能) 등 19항목, 권16은 부부(夫婦) 등 18항목, 권17은 기양(祈禳) 등 13항목, 권18은 사위(詐僞) 등 14항목, 권19는 우(愚) 등 13항목, 권20은 백충(百蟲) 등 18항목으로, 모두 259항목이다. 따라서 군부 80항목, 신부 46항목, 인부 108항목, 천지사물부 25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책을 비교하면 제목 및 목차의 명칭과 순서 등에서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또한 편찬된 내용에서도 많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어,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을 참고해 편찬한 것으로 판단된다. 서술 순서에서의 정제성과 내용에서의 완성도에서 본다면 장서각본이 국립도서관본을 근간으로 수정·증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은 군주와 신하, 인간과 사물에 대한 사항을 중국 고전에서 발췌해 정리함으로써 성현의 언행을 전승하고 유교적인 도덕관을 관철하려는 목적에서 편찬되었다. 장서각과 국립중앙도서관에 각기 다른 책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정사류편(正史類編)』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