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래 백제의 송산(松山)부곡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정송으로 바꾸어 당성군(唐城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수주(水州 : 지금의 수원)에 합쳐 다른 7개 현과 함께 속현이 되었다.
조선 태종 때 수원도호부의 5개 속현 중의 하나가 되었다가 직촌이 되어 당시의 초장면이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화성군 향남면이 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봉수대가 있었던 건달산(建達山)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어 남양(南陽)의 월경처였던 분향창(分鄕倉)과 함께 수원의 해창(海倉)을 가지고 있어 어염(魚鹽)의 생산이 많던 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