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와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정와문집
정와문집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황용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조선 헌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황용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조선 헌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1권 6책. 목판본. 이 책은 헌종연간(1835∼1849)에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희화(金熙華)의 서문이 있다.

권1은 사(詞) 1편, 시 125수, 권2·3은 시 266수, 권4∼6은 서(書) 57편, 권7은 서(序) 10편, 기(記) 5편, 전(傳) 3편, 잠(箴) 1편, 지(識) 5편, 권8은 발(跋) 14편, 뇌(誄) 5편, 제문 14편, 권9는 묘갈명 7편, 권10은 묘지명 7편, 행장 7편, 권11은 행장 3편, 행록 5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시의 <정좌 靜坐>는 심(心)과 성(性)에 관하여 논한 시로서, 기쁨과 성내는 것은 원래 외세에 의하여 생기는 것이므로, 고요히 앉아서 자신의 마음과 성품을 닦아야 한다는 사상을 강조한 내용이다. 그밖의 시는 대체로 자연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학문에 관하여 언급한 시도 있다.

서(書)는 시사(時事), 정자(程子)·주자(朱子)의 성리설(性理說)과 도학사상(道學思想)에 대하여 문답한 것이다. 선유(先儒)의 학문하는 방법과 처세하는 방법에 대한 문답도 다소 있다.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