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정집 ()

목차
관련 정보
제정선생문집
제정선생문집
한문학
문헌
고려 후기의 문인, 이달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문인, 이달충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목판본. 권4에 수록된 구본(舊本)의 발문에 의하면 초간본은 손자 영상(寧商)이 강원관찰도사로 재임할 때에 춘천도호부에서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산일(散佚)되어버리고 다만 윤회(尹淮)의 발문만이 『동문선』에 수록되어 있다.

그 뒤에 후손들이 『동문선』 등에 실린 글들을 모아 필사로 편집하여 보관하다가 다시 시문들을 모아 부록에 붙여 행장을 찬하고, 본집을 교정한 뒤에 서문과 발문을 써서 1836년(헌종 2)에 간행하였다. 1919년 장석영(張錫英)의 서와 후손 능호(能頀)의 발문을 붙여 중간하였다.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고려명현집(高麗明賢集)』 4집과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간행한 『한국문집총간』 3집에 영인되어 있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2012년에 번역하였다. 내용을 보면 권1에는 부·시, 권2에는 표(表)·잠(箴), 권3에는 기(記)·서(序)·설(說)·발(跋)·제문·묘지명 등이 실려 있다.

권4에는 부록으로 행장이 실려 있다. 『고려사』·『동경잡기(東京雜記)』·『해동잡록(海東雜錄)』 등에서 이달충에 관한 기록을 발췌하여 수록하였다. 구 문집의 발문과 앞에서 빠진 시 2수를 추가 수록하였다. 그리고 1832년(순조 32)에 쓴 이인행(李仁行)의 서와 1836년에 쓴 후손 벽수(璧秀)의 발이 각각 앞뒤에 있다.

『제정집』에 수록된 시 중에 「설헌정상택청산백운도(雪軒鄭相宅靑山白雲圖)」는 일종의 제화시(題畫詩)로 작자가 「청산백운도」를 보고 차분한 결구를 통하여 사경(寫景)을 시적 논리로 흡수하여 현실과 자아와의 심리적 간격을 투영시킨 작품이다. 그 밖에 「초부(礎賦)」와 「애오잠(愛惡箴)」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고려 말에 한문학의 새로운 대상으로 주목할 만하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