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공도 ()

고대사
제도
발해시대의 대외교통로.
목차
정의
발해시대의 대외교통로.
내용

『신당서(新唐書)』발해전(渤海傳)에는 국도(國都)인 상경(上京)을 중심으로 하여 각 방면에 이르는 교통로를 설명하고 있다. 그 중에 ‘서경압록부(西京鴨綠府)는 조공하는 길(朝貢道也)’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교통로는 초기부터 빈번하게 사용된 것이 아니었다.

당나라에서 안사(安史)의 난(亂)이 있은 뒤부터 종래 사용하던 영주도(營州道)가 거란에 막힘으로써, 발해 사신들은 장령부(長嶺府)를 거치는 육로를 버리고 압록부(鴨綠府)의 수로를 택하게 되었다. 그 구체적인 경로는『신당서』지리지에 인용된 가탐(賈耽)의 「도리기(道里記)」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이 기록을 바탕으로 중국학자 왕칭례(王承禮)가 고증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경에서 출발해 첫 도읍지였던 돈화(敦化)를 거치고 대포시하(大蒲柴河)를 따라 무송(撫松)을 지나서 서경(西京: 현재의 臨江鎭)에 일단 이르게 된다.

한편, 상경에서 왕청 가야하(汪淸 嘎呀河)를 따라 연길(延吉)용정(龍井)을 지나 중경(中京: 현재의 西古城子)에 이르거나, 동경(東京: 현재의 八連城)에서 두만강을 따라 남강산맥(南崗山脈)을 넘고 부르하통하(布爾哈通河)를 거친 다음 연길·용정을 지나 중경에 이르게 된다.

중경에서 안도(安圖)를 거쳐 대포시하에 이르면 첫번째와 같은 경로로 서경에 이르게 된다. 이상 세 가지 경로가 일단 서경, 즉 신주(神州)에서 만나게 되며, 다시 환주(桓州: 현재의 集安), 박작구(泊勺口: 현재의 大蒲石河口)를 지난 다음, 석인왕(石人汪: 현재의 遼寧省 石城島)·행화포(杏花浦)·도화포(桃花浦)·청니포(靑泥浦: 현재의 遼寧省 大連)·도리진(都里鎭: 현재의 遼寧省 旅順)을 지나, 오호해(烏湖海: 현재의 발해해협)를 건너고 묘도열도(廟島列島)의 여러 섬을 지난 뒤 산동반도의 등주(登州)에 이르게 된다. 이곳에서 당나라의 장안(長安)으로 향하게 된다.

결국 조공도는 압록강 하구에서 연안을 따라 항해를 해서 요동지방의 해안을 돌아 바다를 건너 산동반도로 상륙하는 긴 해로라고 할 수 있다. 유득공(柳得恭)의『발해고(渤海考)』에도 압록조공도는 산동반도 등주까지 이어지는 해로로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지역에 계절풍이 있음을 고려한다면 당과 발해 사이에는 하나의 통로만을 사용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북서계절풍이 부는 시기에는 산동반도에서 한반도 서해안으로 도착하는 길을 따라 갔고, 남동계절풍이 부는 시기에는 산동반도에서 요동반도로 가는 해로를 이용했을 것이다.

이 교통로를 이용한 구체적인 사례는 당의 사신인 최흔(崔欣)이 발해대조영(大祚榮)을 책봉한 뒤 714년에 당으로 돌아가던 중, 현재의 여순(旅順) 황금산록(黃金山麓)에 있는 우물에 남긴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732년 발해의 장수 장문휴(張文休)가 등주를 공격했던 경로도 이 곳이었을 것이다.

의의와 평가

조공도는 압록조공도를 의미하는데, 압록조공도는 발해와 당과의 관계에서 정치적인 목적은 물론 경제적인 교역로로도 많이 이용되었으므로 발해의 대외교섭 창구로서 역할을 담당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신당서(新唐書)』
「발해 5경의 성격과 기능」(한규철, 『발해5경과 영역 변천』, 동북아역사재단, 2007)
「연변지구(延邊地區)의 발해유적(渤海遺蹟)과 조공도(朝貢道)」(방학봉, 『선사와고대』10, 1998)
「유득공(柳得恭)의 《발해고(渤海考)》분석(分析)」(정진헌, 『경희사학(慶熙史學)』18, 1993)
『渤海簡史』(王承禮, 黑龍江人民出版社, 1984)
『渤海史上の諸問題』(鳥山喜一, 風間書房, 1968)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