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년 조선총독부는 한국사의 왜곡과 원활한 식민통치 수행을 위해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식민사관(植民史觀)에 입각한 『조선사(朝鮮史)』를 편찬, 보급하였다.
일제가 한국인에게 한국사를 왜곡 교육함으로써 식민통치를 원활하게 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일제는 데라우치(寺內正毅) 초대 총독 때부터 식민지 통치에 필요한 역사적 자료의 수집 조사를 위해 취조국(取調局)을 두고 학자들을 고용해 구관제도조사사업(舊慣制度調査事業)과 고적(古蹟)조사사업을 전개하였다.
그 뒤 1915년 구관조사사업을 중추원(中樞院)으로 이관하고 따로 일본의 식민지로 귀착될 수밖에 없는 한국사로의 역사 편찬을 위해 중추원에 편찬과를 신설하고 『조선반도사(朝鮮半島史)』의 편수 업무를 담당케 하였다.
그러나 방대한 작업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시일을 끄는 가운데 1919년 3·1독립운동을 맞았다. 민족적 자각과 역사적 각성에 기초한 거족적 저항에 놀란 일제는 이를 계기로 정치적인 유화정책을 쓰는 한편 역사의식을 깨우쳐 한 민족의 민족정신을 함양하는 온상의 역할을 하는 한민족사를 민족혼을 뺀 빈 껍질의 역사로 꾸미기 위하여 『조선사(朝鮮史)』 편찬을 서둘렀다.
이러한 목적에서 중추원의 조선사 편찬, 사무를 조선총독부의 직할사업으로 추진시키기 위해 1923년 12월에 조선총독부 훈령(訓令) 제64호로 조선사편찬위원회규정(朝鮮史編纂委員會規程)을 공포하고 관계 관료와 일본의 어용사학자, 일부 우리 사학자를 간선해 고문과 위원으로 임명해 조선편찬위원회를 조직했다.
조선사편수회는 1924년부터 수차에 걸쳐 위원회를 열어 한국인의 사서(史書)에 대한 ‘절멸책을 강구하는 것은 수고는 많으나 효과가 적은 일일뿐더러 반대로 혹 전과를 격려할는지 모른다. 차라리 구사(舊史)의 금압에 대(代)하기를 공명 명확한 사서(史書)로 함이 지름길이고 효과는 더욱 뚜렷함과 같지 못하다’는 인식에서 독립의 관청을 설치하고 식민사관(植民史觀)에 입각한 『조선사』 편찬을 담당케 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리하여 1925년 6월에 칙령(勅令) 제218호로 조선사편수회관제(朝鮮史編修會官制)를 공포하고 조선사편수회를 발족시켰다. 조선사편수회는 조선총독부 정무총감(政務總監)을 회장으로 하고 일본과 한국학자를 수사관(修史官) · 수사관보(修史官補)로 임명하고 조선사 편수 실무를 담당케 하였다.
조선사편수회는 『조선사』 편찬을 10개년 사업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그 기초 작업으로 사료수집사업을 대대적으로 진행했다. 그리하여 일본 · 한반도 · 만주 각지에서 기록 · 고문서 · 사적(史籍)문집 · 영정(影幀) · 고지도 · 탁본(拓本) 등을 광범위하게 구입하고 지방사 자료와 개인 소장의 사료는 차용 등사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집하는 한편 한국과 관계가 깊은 쓰시마(對馬島) 도주(島主)의 고문서 자료를 구입하였다(고문서류 61,469매, 고기록류 3,576책, 고지도 34매, 고서화 18권과 53매).
점차 사료가 집적됨에 따라 1927년 6월조선사편수회는 편수 실무를 다음과 같이 분담케 하였다.
① 사료 수집사무-채방부(採訪部)-수사관 홍희(洪憙)․ 정비부(整備部)-촉탁 중촌영효(中村榮孝), ② 사료 편찬사무-사적정본(史籍定本)-촉탁 금서룡(今西龍) · 사적해제(史籍解題)-수사관보 고교탁이(高橋琢二), ③ 직관표(職官表)-수사관 홍희, ④ 조선사 편찬-제1∼6편찬부-편수관 촉탁 금서룡, 수사관보 이병도(李丙燾), 촉탁 중촌영효, 수사관 도엽암길(稻葉岩吉), 수사관보 학견입길(鶴見立吉), 수사관보 고교탁이, 촉탁 뇌야마웅(瀨野馬熊). 편수관은 그 뒤 다소의 변동이 있었다.
이런 활동에 따라 1938년 37책으로 구성된 『조선사』가 편찬, 간행되었다. 조선사편찬위원회에서 일본인 위원과 한국인 위원 사이에는 고조선 문제나 민족성 배제 문제를 가지고 상당한 논쟁도 있었으나 결국은 조선총독부 의도대로 편찬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사편수회는 조선사 편수를 위해 수집한 사료 가운데 20종을 택해 『조선사료총간(朝鮮史料叢刊)』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동시에 3책으로 된 귀중 기록 · 고문서 · 사적 · 필적 · 화상 등은 콜로타이프 판으로 『조선사료집진(朝鮮史料集眞)』이라는 이름으로 묶어 간행하였다. 조선사편수회는 1945년 8·15광복과 더불어 해산의 운명을 맞았다.
일제의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려는 어용사가들이 관권을 동원해 역사왜곡을 자행하게 되는 단초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