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1937년 중일전쟁 발발 직후 국가총동원법안(國家總動員法案)을 만들어 ‘국민정신총동원(國民精神總動員)’의 표어를 내걸고서 이른바 신체제운동(新體制運動)을 전개하였다. 연극의 경우 ‘국민연극(國民演劇)’이라는 국책극(國策劇)을 강요하고, 그 추진모체로 1940년 12월 22일에 조선연극협회(朝鮮演劇協會)를 만들었다. 국책극을 시행하려면 우선 연극인들을 하나로 묶는 조직을 만들어야 했기 때문이다.
조선연극협회 초대회장은 극작가 이서구(李瑞求)가 맡았고, 상무이사는 김관수(金寬洙), 이사는 박진(朴珍)·유치진(柳致眞)·최상덕(崔象德), 그리고 감사는 심영(沈影) 등이었다.
이 협회는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극단들을 산하에 끌어들였는데, 중앙에 있던 극단 중 아랑(阿娘)·고협(高協)·청춘좌(靑春座) 등 17개, 평양에 있던 극단 중 국민좌(國民座) 등 3개, 신의주의 신생좌(新生座), 강계의 만월무대(滿月舞臺), 그리고 신천의 대륙좌(大陸座) 등 23개의 극단이 가입하였다.
이러한 조선연극협회는 1942년 7월 26일에 발전적으로 해체되어 조선연예협회를 흡수하고, ‘극문화의 새로운 출발과 연극·연예 양 단체의 병합’을 내세워 조선연극문화협회로 재탄생되었다.
초대 회장은 일본인 가라시마[辛島驍]가 맡고, 이사에 서항석(徐恒錫) 외 몇 명, 상임평의원에 유치진 외 몇 명이 선출되었다.
조선연극문화협회는 전연극인의 연성회, 연극문화전람회 개최, 연극전문지 간행, 조선연극사 편찬, 연극경연대회 등을 계속한다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직속으로 이동극단을 두어 농촌·산촌·어촌 등의 지방순회공연도 가졌다. 협회가 애초 내세운 여러 가지 거창한 계획을 모두 실행하지는 못했지만, 연극경연대회만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시켰다.
1942년 9월에 조선총독부와 매일신보사 등의 후원을 받아 개최한 제1회 국민극경연대회에서 아랑·성군(星群)·현대극장(現代劇場)·고협·청춘좌 등 유수한 극단들이 국책극을 가지고 참가하였고, 제2·3회 대회도 비슷한 규모였다.
한편, 이 협회는 1945년에 태평양 전쟁이 끝나면서 해체되었다.
조선연극문화협회는 조선총독부의 지휘를 받으며 연극을 통한 한민족의 황국신민화운동에 앞장섰던 어용단체로, 광복 때까지 약 3년간 존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