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중앙일보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중앙일보
조선중앙일보
언론·방송
문헌
1933년에, 여운형이 『경성일보』를 개제하여 창간한 일간 신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3년에, 여운형이 『경성일보』를 개제하여 창간한 일간 신문.
내용

여운형(呂運亨)이 『중앙일보』의 제호를 바꾸어 1933년 3월 7일 발행하였다. 편집인 겸 발행인은 최선익(崔善益), 사장은 여운형이었으나 1935년 5월 31일부터는 출자자인 최선익이 물러가고 새 출자자인 윤희중(尹希重)과 함께 경영을 담당하였다.

증자와 함께 취체역 사장에 여운형, 전무에 윤희중, 고문에 권동진(權東鎭) · 윤치호(尹致昊), 편집국장에 이관구(李寬求) 등으로 진영을 갖추었다. 체재는 대형판 13단제로, 조간 4면, 석간 4면의 8면을 발행하였다.

원래 이 신문의 계보는 『중외일보(中外日報)』(1∼1492호)→『중앙일보』(1493∼1871호)→『조선중앙일보』(1872∼3059호)로서 모두 제호를 바꾸어 인수하기 전의 호수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중외일보』는 1926년 11월 15일 창간되었는데 이상협(李相協)이 발행인 겸 편집인을 맡아 경영하다가 1929년 9월에는 안희제(安熙濟)가 출자하여 사장에 안희제, 부사장에 이상협으로 개편하였으나 경영난으로 1931년 9월 2일 해산을 결의하여 자진 폐간하였다.

『중앙일보』는 『중외일보』의 판권과 신문호수를 그대로 이어받아 1931년 11월 27일 속간한 일간신문으로, 발행인 겸 편집인에 김찬성(金贊成) · 노정일(盧正一) · 최선익 등이 계승하여 주간(主幹) 중심체제로 운영하였다.

‘여론의 대표기관, 정의의 옹호기관, 엄정한 비판기관’이라는 3대 신조를 내세우면서 민중의 공기로서의 소임을 다짐한 신문으로 다른 신문들과 달리 일요부록으로 2면을 발행하여 학예 · 가정 · 운동 · 아동 · 산업 등을 다루고 독자의 교양과 취미를 넓히고 값싸고 가장 좋은 신문이 되고자 노력하였다.

다른 신문들과 같이 총독부의 탄압과 재정적 운영난으로 1932년 5월 5일에 60일간의 휴간계를 내는 등 사원의 월급을 지급하지 못하여 분규가 일어나는 현상까지 초래하기도 하였다. 그 뒤 1933년 2월 16일에 여운형을 사장으로 하여 새 출발을 하였으나 1933년 3월 6일에 마지막 호를 내고 폐간하였다.

『조선중앙일보』는 『중앙일보』의 제호와 호수를 이어받아 발행한 일간신문이다. 자본금 50만 원으로 증자하여 사업확장을 위하여 경비행기를 도입, 백두산탐험비행을 단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8월 13일자 조간 4면에 제11회 베를린올림픽대회 마라톤에서 우승한 손기정(孫基禎)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한 사진을 보도하여 9월 5일부터 무기정간 당하였다.

그 뒤 성낙헌(成樂憲) 등과의 재정적인 물의와 사장 여운형의 총독부에 의한 강제적인 사장 사임 등으로 곤경에 빠져 1937년 11월 5일 발행허가 효력의 자연상실로 폐간되고 말았다.

이 신문이 『조선중앙일보』로 제호를 고친 것은 중국에서도 『중앙일보』가 발행되고 있다는 이유도 있지만, ‘조선’을 붙여 민족적 정신을 부각시키고 독립의 의지를 불어넣으려는 뜻도 함축되어 있었다.

그리하여 민족반역자의 행태를 폭로 보도하여 사회적으로 경각심을 일으키기도 하고, ‘조선민란사화(朝鮮民亂史話)’를 연재하는 등 민중의 지지와 여론의 대변에 매진하였다. 그러나 그만큼 총독부의 탄압을 받아 수없이 차압을 당하고 기사삭제의 고난을 겪었던 신문이다.

참고문헌

『한국신문백년지』(윤임술 편, 한국언론연구원, 1983)
『한국언론연표』(계훈모 편, 관훈클럽, 신영연구기금, 197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