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야신필 ()

목차
관련 정보
조야신필
조야신필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학자 황덕길이 동서분당 이래의 당쟁에 관한 기록을 모아 저술한 정치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황덕길이 동서분당 이래의 당쟁에 관한 기록을 모아 저술한 정치서.
내용

4권 2책. 필사본. 붕당의 폐해를 경고한 이준경(李浚慶)의 유소(遺疏)를 비롯하여 동서분당의 원인, 문묘종사(文廟從祀)의 논란, 예송 문제(禮訟問題), 남인의 집권, 노론·소론의 대립과, 영조의 탕평책 등 당쟁과 관련된 상소문, 관련인의 소견·비문·계사(啓辭)·비평·전지(傳旨)·서간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고상이준경유소(故相李浚慶遺疏)·노소재기이동고유사(盧蘇齋記李東皐遺事)·윤고산기이동고사(尹孤山記李東皐事)·유서애설암잡기(柳西厓雪巖雜記)·남동소기분당사(南桐巢記分黨事)·이율곡여성우계서(李栗谷與成牛溪書)·심의겸파직전지(沈義謙罷職傳旨)·대간송응개소(大諫宋應漑疏)·경연관김우옹주대(經筵官金宇顒奏對)·허미수학문편(許眉叟學問篇), 유서애기정릉사(柳西厓記靖陵事)·남동소논성우계사(南桐巢論成牛溪事)·이이성혼문묘출향계사(李珥成渾文廟黜享啓辭)·이백사찬이율곡비문(李白沙撰李栗谷碑文)·허미수기송대간유사(許眉叟記宋大諫遺事)·조용주찬정이암비문(趙龍洲撰鄭頤庵碑文)·송윤수록송익필사(宋玧手錄宋翼弼事)·남동소기정철사(南桐巢記鄭澈事)·남동소기기축사(南桐巢記己丑事)·이정산기백사집(李貞山記白沙集)·기축록개판사(己丑錄改板事)·진사이상채등청김장생출향소(進士李相采等請金長生黜享疏).

권2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남동소기김석주사(南桐巢記金錫胄事)·어제고판서유혁연치제문(御製故判書柳赫然致祭文)·삭경신위훈교문(削庚申僞勳敎文)·윤노서의답송우암서(尹魯西擬答宋尤庵書)·윤명재의여송우암서(尹明齋擬與宋尤庵書)·나명촌여생김창흡서(羅明村與甥金昌翕書)·송우암찬김상류비문(宋尤庵撰金相0x9E61碑文)·김수홍여송우암서(金壽弘與宋尤庵書)·전참의윤선도소(前參議尹善道疏)·교리홍우원소(校理洪宇遠疏)·유학박헌소(幼學朴瀗疏)·송시열사사전지(宋時烈賜死傳旨)·고묘문(告廟文)·김수항사사전지(金壽恒賜死傳旨)·남동소기기해상례사(南桐巢記己亥喪禮事)·허시거비설(許是去非說)·나양좌기박현석사(羅良佐記朴玄石事)·남동소논노서변우계불부난(南桐巢論魯西辨牛溪不赴難)·남동소기계갑록개찬사(南桐巢記癸甲錄改竄事)·남동소기윤노서논예사(南桐巢記尹魯西論禮事)·남동소기윤명재사(南桐巢記尹明齋事)·남몽예논회니사(南夢0xF833論懷尼事)·남동소기기사사(南桐巢記己巳事).

권3에 수록된 것은 다음과 같다. 영상남구만차(領相南九萬箚)·집의정시한소(執義丁時翰疏)·남동소기김춘택사(南桐巢記金春澤事)·영상남구만계(領相南九萬啓)·유학임보소(幼學林溥疏)·남동소갑술기사(南桐巢甲戌記事)·영부사윤지완소(領府事尹趾完疏)·부수찬홍만우소(副修撰洪萬遇疏)·호군강세구소(護軍姜世龜疏)·유학이잠소(幼學李潛疏)·토역교문(討逆敎文)·양사합계(兩司合啓)·금국죄인백망문일초사(禁鞠罪人白望問日招辭)·사헌부계(司憲府啓)·사간조덕린10조소(司諫趙德隣十條疏)·조오천명실변(趙五泉名實辨)·전주부권부소(前主簿權扶疏).

그리고 권4에 유학이도현자응원소(幼學李道顯子應元疏)·영남유생이우등소(嶺南儒生李堣等疏)·영남이우등입시연교(嶺南李堣等入侍筵敎)·영남유생박하원등소(嶺南儒生朴夏源等疏)·우상박종악소(右相朴宗岳疏)·영상채제공소(領相蔡濟恭疏)·팔월팔일연교(八月八日筵敎)·고상채제공뇌문(故相蔡濟恭誄文)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 외 부록으로 당쟁 문제를 논한 이중환(李重煥)의 ≪택리지≫와 채제공의 연주(筵奏)가 발췌, 수록되어 있다. 또한 <하려선생의칠현변무소 下廬先生擬七賢辨誣疏>가 첨부되어 있는데, 남인 윤휴(尹鑴)·이현일(李玄逸)·권대운(權大運) 등을 두둔하고 있어 남인 중심으로 엮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