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종 62점.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1554년(명종 9)에 작성된 물단개(勿丹介)의 별급문기(別給文記) 등 분재기(分財記) 7건, 1601년(선조 34)에 발급된 조정의 교첩(敎牒) 등 교지류(敎旨類) 48건 등 고문서 3종 55점, 조선 초기의 간본인 『척약재학음집(惕若齋學吟集)』을 비롯하여 『필원잡기(筆苑雜記)』 · 『한서(漢書)』 등 전적 7종 7책 등이 일괄하여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보물로 지정된 고문서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분재기 : 1554년 재주(財主) 홍윤최(洪胤崔)의 처 최씨(崔氏)가 외손 물단개에게 준 별급문기, 명종 연간의 조광헌(趙光憲)의 처 자매의 깃급문기(衿給文記), 1593년 조정의 처 김씨(金氏)가 어머니에게 받은 깃급문기, 1621년(광해군 13) 조정의 동복남매화회성문(同腹男妹和會成文: 동복남매의 화회문기), 홍윤최의 친 · 외손 조정 · 홍수경(洪秀慶) 등 문중화회성문(門中和會成文) 등 7건.
② 교지류 : 선조∼ 인조 연간에 발급된 조정의 교지 22건과 그의 할아버지 · 아버지 및 자손에게 발급된 교지 등 총 47건.
③ 차정첩(差定帖) : 1628년(인조 6) 조기원(趙基遠)을 동몽 교관(童蒙敎官)에 임명하는 문서 1건. 이들 고문서는 당시 사회 · 경제사 및 관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전적은 『삼봉집(三峰集)』 등 7종 7책인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척약재학음집』은 고려 말기의 학자 김구용(金九容)의 시집으로 조선 초기에 간행된 희귀본이다. 『필원잡기』는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수필집으로 1487년(성종 18)에 간행된 초판본이다. 『전산성법(田算成法)』은 임진왜란 전후에 목판본으로 간행된 유일본으로, 조선 중기 전지의 결세과표(結稅課標)로서 세제 연구의 자료가 된다.
그밖에 『삼봉집』 · 『한서』 · 『논어언해(論語諺解)』 · 『송조명현오백가파방대전문수(宋朝名賢五百家播芳大全文粹)』 등도 조선 전기 간본이 있다.
일부 낙질이 있으나, 조선 전기에 간행된 것으로 서지학연구는 물론, 교육문화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경상북도 상주시 신봉동 조강희(趙康熙)가 소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