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징록 ()

목차
관련 정보
족징록
족징록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송근수가 조선시대의 각종 사건 · 사화 · 당쟁을 항목별로 서술한 정치서. 연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송근수가 조선시대의 각종 사건 · 사화 · 당쟁을 항목별로 서술한 정치서. 연구서.
내용

서(序)·발(跋)이 없어 필사 연도는 미상이다.

족징록이라는 책이름은 아마도 ‘족히 증거할 만한 기록’ 또는 ‘족히 밝혀둘만한 기록’이라는 뜻인 듯하다. 구체적인 인용서목이 밝혀져 있지 않아 무엇을 근거로 기술된 것인지도 알 수 없다.

목록의 편명은 다음과 같다. <병자육신사화 丙子六臣士禍>·<무오점필사화 戊午佔畢士禍>·<갑자점필사화정묘사화부 甲子佔畢士禍丁卯士禍附>·<기묘정암사화 己卯靜庵士禍>·<신사안정등화 辛巳安貞等禍>·<을사윤임등화 乙巳尹任等禍>·<정미금규화 丁未錦圭禍>·<기유이홍윤화 己酉李弘胤禍>·<신묘송강화 辛卯松江禍>·<무신춘호화 戊申春湖禍>·<신해석주시화 辛亥石洲詩禍>·<임자김직재화 壬子金直哉禍>·<계축김연흥화 癸丑金延興禍>·<무오백사화 戊午白沙禍>·<을유백강화 乙酉白江禍>·<병술죽학화 丙戌竹鶴禍>·<기해예송화 己亥禮訟禍>·<기사우암화 己巳尤庵禍>·<신축사대신화 辛丑四大臣禍>·<고율상기 皐栗相岐>·<동서분당 東西分黨>·<대소북분당 大小北分黨>·<노소론분당 老少論分黨>·<회니지전 懷尼之戰>·<우율무변 牛栗誣卞>·<남명사략 南冥事略>·<현석이합 玄石離合>·<문자지실 問者之失>·<북벌지계비우 北伐之計非迂>·<최지천비죄 崔遲川非罪>·<가례원류사 家禮源流事>·<천산오견 泉山誤見>·<배청양지모 排靑陽之謀>·<동인허기장옥 東人許起贓獄>·<의사최이옥 疑死崔李獄>·<율곡지퇴 栗谷之退>·<경신견남옥 庚申堅柟(枏)獄>·<오류옥 吳柳獄>·<유효립복주 柳孝立伏誅>·<심기원복주 沈器遠伏誅>·<김자점복주 金自點伏誅>·<임장군원사 林將軍寃死>·<고청안분 孤靑安分>·<군자생어소인가 君子生於小人家>·<도전지란 道傳之亂>·<박포지란 朴苞之亂>·<곤위복정 壼位復正>·<모년처분 某年處分>·<임진사략 壬辰事略>·<전후병란 前後兵亂>·<병신후린옥 丙申厚麟獄>·<홍국영병출 洪國榮屛黜>·<이승훈기화 李承薰基禍> 등 53항목으로 되어 있다.

위에서 보듯이 시대별 순서나 사건별 성격을 무시하고 항목을 무작위로 설정하여 자유로이 기술하고 있다. 중간에 보충 설명이 필요할 경우에는 세자(細字)로 주를 붙여 읽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편자가 노론의 영수 송시열(宋時烈)의 후손이었기 때문에, 내용이 노론 위주로 서술되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노론의 입장에서 본 당쟁사 연구서라 할 수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83년이이화(李離和)의 ≪조선당쟁관계자료집≫에 수록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참고문헌

『조선당쟁관계자료집』 1(이리화 편, 여강출판사, 1983)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