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보언간독 ()

목차
관련 정보
증보언간독
증보언간독
언어·문자
문헌
1826년 한글편지 교육을 위한 『언간독』을 증보 편찬한 교과서. 교과서증보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826년 한글편지 교육을 위한 『언간독』을 증보 편찬한 교과서. 교과서증보판.
서지적 사항

1책. 목판본.

모두 24장이지만 마지막장의 판심서명(版心書名)이 ‘징보언간독 하’이므로 상·하 2권으로 편집된 것같이 보이나, 그 곳 이외의 모든 장에서는 판심서명이 ‘언간독’으로 되었고 상·하의 구별이 없어 1권 1책으로 편찬된 것과 상·하 2권으로 된 것이 합편된 것으로 보인다. 유계(有界)에 반엽 15행으로 되었으며 하향태선흑어미(下向太線黑魚尾)를 가지고 있다.

표지서명은 ‘언간독’, 권수(卷首)에는 ‘징보언간독목록’이라는 목차가 붙어 있으나 앞의 2장과 뒤의 1장을 제외하고는 판심서명이 모두 ‘언간독’으로 되었다. 권말에 ‘병술십일월야동신간(丙戊十一月冶洞新刊)’이라는 간기가 보이므로 병술년(1826)에 서울 서부의 야동에서 증보판을 간행한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

이 책의 내용은 여러가지의 편지와 답장의 서식 37종을 예로 하여 서간문 작성의 모범을 보인 것이다.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와 답장의 서식을 비롯하여 아버지·조카·삼촌·아우·형·외삼촌·장인·사돈·존장·시동서·사위 등 일가친척에게 쓴 편지 및 답장이 있고, 답교하는 날 청하는 편지로부터 화류·관등날·복날·가을에 놀자고 청하는 편지 등 여러 형태의 초청편지와 그 답장을 실었다.

그리고 새해인사·생남치하·과거치하·외임치하 등 각종 축하의 편지서식이 있고, 상고(商賈)·문병·조장(吊狀)·위장(慰狀)·신부문안·생신편지 등의 실용적인 경조간의 편지서식이 실려 있다. 모두 한글로만 쓰여 있어 당시 서민들의 편지서식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근대국어의 자료로서도 많은 가치를 가진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그 밖에 국립중앙도서관에 2권 1책의 목판본 『증보언간독』과 규장각도서에 1907년 간행된 1책(19장)의 목판본 『증보언간독』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