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증산성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증산성 전경
부여 증산성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가 도성 방어를 위해 축조한 테뫼식 성곽. 산성.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여 증산성(扶餘 甑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1967년 03월 25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산86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가 도성 방어를 위해 축조한 테뫼식 성곽. 산성.
내용

해발 200여m 산 위에 마치 시루〔甑〕에 테를 두른 것처럼 성벽을 둘러 쌓았다. 산성의 모습을 구분할 때, ‘테뫼식’ 산성은 이러한 모습의 산성을 일컫는다.

이 산성은 백제가 사비(泗沘)로 수도를 옮긴 538년(성왕 16)경에 도성 방어를 위한 북쪽의 외곽성으로 축조된 것으로 보인다. 서쪽의 옥녀봉산성(玉女峰山城), 부여군 은산면의 이중산성(二重山城)과 서로 마주하고 있다.

성벽은 지세를 이용하여 쌓았는데, 다른 산성에 비하여 축조 기법이 정교하지 못하다. 곧 기초 부분부터 4∼5단까지는 다른 산성과 비슷하게 쌓았지만, 그 위부터는 공돌쌓기로 조잡하게 쌓았다. 성벽의 둘레는 약 500∼600m이고, 높이는 약 2∼3m이다. 성벽의 바깥쪽은 돌로 쌓았고, 안쪽은 땅을 깎아낸 내탁(內托)의 방식으로 다졌는데, 깎인 부분은 자연 호(壕)를 이루고 있다.

남쪽 성벽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고, 서쪽 성벽도 약 2m 정도 남아 있지만, 동쪽 성벽은 파괴가 심하여 남은 부분이 없다. 성벽에는 너비 4.2m의 북문터가 있으며, 동남쪽과 서쪽에도 문터의 흔적이 남아 있다. 성 안에는 지세로 보아 동쪽에 수구(水口)가 있어야 할 듯한데, 성벽이 무너져 버린 곳이 수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에는 우물터가 남아 있고, 초소(哨所)터 2곳도 확인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대동지지(大東地志)』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이도학, 일지사, 2010)
『문화재대관』-사적편-(문화재관리국, 1976)
『부여군지』(부여군지편찬위원회, 196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