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봉집 ()

지봉집
지봉집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수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이수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34년에 간행한 시문집.
서지사항

341권(부록 3권 포함). 목판본. 초간본은 이수광이 죽은 지 5년 후인 1634년(인조 12) 두 아들 성구(聖求)와 민구(敏求)가 유고(遺稿)를 편집해 2년 동안에 걸쳐 의령(宜寧, 宜春)에서 간행하였다.

책의 편차는, 권1∼7에 오언 · 칠언의 절구 · 율시 · 배율 · 고시, 권8에 안남사신창화록(安南使臣唱和錄), 권9에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 권10에 조천록(朝天錄), 권11에 반사록(半槎錄), 권12에 학성록(鶴城錄), 권13에 홍양록(洪陽錄), 권14에 황화집차운(皇華集次韻), 권15에 금중록(禁中錄), 권16에 속조천록(續朝天錄), 권17에 신은창화록(新恩唱和錄), 권18에 승평록(昇平錄), 권19에 황화집차운, 권20에 별록, 권21∼23에 잡저, 권24에 채신잡록(采薪雜錄), 권25에 독서록해(讀書錄解), 권26에 제사(題辭), 권27 · 28에 병촉잡기(秉燭雜記) 상 · 하, 권29에 경어잡편(警語雜編), 권30 · 31에 잉설여편(剩說餘編) 상 · 하가 수록되어 있다. 부록은 권1 행장, 권2 제문, 권3 만사로 편집되었다. 당대의 명현인 이정구(李廷龜) · 장유(張維)의 서문과 이준(李埈) · 신익성(申翊聖) · 이식(李植)의 발문이 있다, 행장은 장유, 묘지명은 김상헌(金尙憲)이 작성한 것으로 본다. 책의 비중을 충분히 알만하다.

내용

주요 내용을 개괄하면, 권1∼7의 시는 오언 · 칠언절구, 오언 · 칠언율시, 오언 · 칠언배율, 오언 · 칠언고시이다. ≪지봉유설≫의 문장부에 실려 있는 내용과 함께 육경 · 성리(性理)에 근거해 위로는 한국과 중국 풍아(風雅 : 詩經의 國風과 大小雅)의 원류를 더듬고 아래로는 후인들에게 많은 자원(資源)과 올바른 길을 열어준 선구적인 내용이 많다. 뿐만 아니라 충담(沖澹 : 맑고 깨끗한 모양) · 취아(醉雅)한 격조 높은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성기(聲氣)가 갱평(鏗平) · 완장(婉章)하고, 한담(閑談) · 온아(溫雅)해 정인군자(正人君子)의 기상을 지녀서 성당(盛唐)의 곤역(閫域 : 문 안 또는 성 안이라는 뜻으로 경지를 의미함)에 들어갔다.”고 당시의 명유들인 이정구 · 신흠(申欽) · 최립(崔岦) · 차천로(車天輅) · 김현성(金玄成) · 장유 · 이식 등이 높이 칭찬한 바 있다.

권8의 <안남사신창화록>은 이수광이 1597년(선조 30)에 진위사(進慰使)로 처음 연경(燕京)에 갔을 때 안남 사신 풍극관(馮克寬)과의 문답록이다. 오늘날 베트남의 왕실 · 풍속 · 제도 · 기후 · 국토 등이 소개되어 있다.

권9는 유구사신 마성기(馬成驥)와 섬라(暹羅 : 타이) 사신 악곤라나저리(握坤喇奈低厘)와의 필담을 통해 들은 두 나라의 지리서 내용이다. 권12 · 13의 내용은 안변 · 홍주부사 시절의 지방 실정과 농민의 참상을 읊은 시가 많으며, 권14는 명나라 사신 홍헌(洪憲) · 왕경민(王敬民)의 시를 읽고 차운한 것이다.

권15는 은대(銀臺) 재직 때의 기록이며, 권17은 두 아들의 문과급제를 창화한 시이며, 권18은 순천부사 때의 시이다.

권19는 명나라 사신 공용경(龔用卿) · 오희맹(吳希孟)의 시에 차운한 내용이며, 권20은 습유(拾遺)의 시편을 수록하였다. 권21∼23은 교서(敎書) · 제문 · 계(啓) · 전(箋) · 서(序) · 설(說) · 기(記) · 대(對) · 발(跋) · 차자(箚子) · 의(議) · 소(疏) · 묘지명 등 잡록이다.

이 가운데 이수광의 정치 사상을 잘 알 수 있는 <조진무실차자 條陳懋實箚子>와 <조완벽전 趙完璧傳> 등은 특이한 내용이다.

권24∼31은 그의 성리철학에 관한 내용이다. <채신잡록>은 수기치인(修己治人)에 관한 식견을, <독서록해>는 명나라 설선(薛瑄)의 독서록에 관한 견해를, <제사>는 채자리(蔡子履)의 심법론(心法論)과 중용집전찬(中庸集傳贊)에 대한 관견(管見)을, <병촉잡기>는 중국 선철(先哲) 및 송명제유(宋明諸儒)의 설과 자신의 견해를, <경어잡편>은 고래의 경어명구(警語名句)에 대한 견해를, <잉설여편>은 천리인성(天理人性) · 음양이법(陰陽理法) · 일용사물 등에 관한 견해를 기술해 그의 연학(硏學) · 심법(心法)이나 인생관 · 우주관을 보여주는 철학적 내용이 집중적으로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이수광의 여러 문장은 주로 경세적. 사실적이며, 실증적이어서 한갓 풍화뇌월을 읊은 것과는 다르다. 즉 조선 후기 실학파의 선구자적 내용을 많이 살필 수 있다. 또한 안남 · 유구 · 섬라 사신들과의 문답록은 ≪지봉유설≫ 외국조(外國條)와 함께 당시 동남아시아 각국의 사정을 알아보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만언봉사(萬言封事) 12조, 즉 <조진무실차자>는 무실(務實)을 강조한 실학적 경세관으로서 그의 정치 사상 및 당시의 사회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 책은 1964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김상기(金庠基)의 제사(題辭)로 된 ≪지봉집≫이 영인, 간행되어 널리 보급되었다.

참고문헌

『지봉집』(최병준·강여진·김광태 옮김, 보고사, 2015)
「지봉집제사」(김상기, 『지봉집』, 대동문화연구원, 1964)
「안남국사신창화문답록」(김영건, 『여명기의 조선』, 1948)
「지봉이수광의 정치경제사상」(반윤홍, 『사학연구』 25, 1975)
「지봉의 문학세계」(이가원, 『지봉선생기념사업회강연초』, 1978)
관련 미디어 (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