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녕 ()

목차
인문지리
지명
경기도 여주 지역의 옛 지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여주 지역의 옛 지명.
내용

원래는 고구려술천군(述川郡, 일명 省知買)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에 기천(沂川, 또는 泝川)이라 칭하였다. 고려 초에 천녕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현종 때에는 광주(廣州)에 속하였으며 뒤에 감무(監務)를 두었다.

조선 태종 때 현감을 두었으나 예종 때여주에 합쳐 직촌이 되었다. 기천이나 천녕은 모두 물가에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남한강의 지류인 대교천변(大矯川邊)에 발달한 취락이었다. 동북쪽으로는 지평(砥平), 서남쪽은 이천, 동남쪽으로는 여흥, 서북쪽으로는 광주와 연결되었다.

조시대에는 부근에 양화역(楊花驛)과 이천창(利川倉)이 있어 이곳에서 생산되는 농작물을 모아 서울에 보내는 데 큰 몫을 하였다. 당시에는 이곳에 이포진(梨浦津)이 있었고 기천서원(沂川書院)이 선조 때 세워져 조선 말기까지 존속하였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대동지지(大東地志)』
『여주목읍지(驪州牧邑誌)』
『한국지방행정사』(내무부, 1966)
『한국지명연혁고』(권상로, 동국문화사,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