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평야 ()

철원평야
철원평야
자연지리
지명/지명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ㆍ동송읍ㆍ갈말읍ㆍ김화읍ㆍ서면ㆍ근북면과 평강군 남면 등에 걸쳐 있는 평야.
이칭
이칭
철원평강대지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철원읍ㆍ동송읍ㆍ갈말읍ㆍ김화읍ㆍ서면ㆍ근북면과 평강군 남면 등에 걸쳐 있는 평야.
개설

면적은 650㎢이고, 해발고도 200∼500m, 평균 높이 300m이다. 신생대 제4기의 주1 분출로 형성된 용암대지상의 평야이다.

철원평야는 남부지방의 평야에 비해 작은 편이지만 강원도 내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평야이다. 현무암이 풍화된 비옥한 토양은 논농사에 적합하며, 철원쌀은 예로부터 유명했다.

자연환경

학저수지를 비롯한 관개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고, 대대적인 개간을 통해 개발되었다. 휴전선을 경계로 양분되어 있으며, 민간인통제선 이북에는 거주하는 주민이 없다. 농사철에만 일시적으로 영농이 이루어진다.

형성 및 변천

추가령주2 주3의 연약대를 따라 발달한 철원용암대지는 신계-곡산용암대지와 함께 신생대 제4기의 대표적인 용암대지이다. 이 지역의 4기 현무암 분출은 대체로 추가령 열곡의 주 방향을 따라 열하 주4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많은 계곡과 저지를 메우면서 한탄강을 따라 흘러내려 임진강까지 이르렀다.

용암 분출은 여러 번에 걸쳐 이루어졌는데, 한탄강 상류로 갈수록 용암 분출로 인해 형성된 현무암층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용암으로 메워진 한탄강 골짜기는 평탄하며, 하천 곡벽은 주5가 떨어져 나와 주6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비옥한 현무암 풍화토로 덮힌 철원용암대지는 관개시설의 확충과 함께 강원도 최대의 곡창지대로 발전하였다.

현황

최근에는 비무장지대의 청정지역에서 생산된 ‘철원오대쌀’이 고품질의 쌀로 널리 알려지면서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잘 팔려나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리지-강원편-』(국토지리정보원, 2006)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이민부ㆍ이광률ㆍ김남신,『대한지리학회지』42(1), 2007)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이민부ㆍ이광률ㆍ김남신,『대한지리학회지』39(6), 2004)
주석
주1

염기성 사장석과 휘석, 감람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산암의 하나. 검은색이나 검은 회색을 띠고 기둥 모양인 것이 많으며, 입자가 미세하고 치밀하여 바탕이 단단하다. 건축 재료로 쓴다.    우리말샘

주2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과 함경남도 안변군 위익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이 고개를 중심으로 추가령 지구대가 이루어졌다. 높이는 752미터.    우리말샘

주3

육지에서 관찰되는, 두 개의 평행한 단층애로 둘러싸인 좁고 긴 골짜기.    우리말샘

주4

지표의 갈라진 틈으로 마그마가 분출하는 현상. 지표의 많은 균열 사이로 다량의 현무암질 용암이 흘러나와 넓게 퍼져서 광대한 용암 대지를 이룬다.    우리말샘

주5

마그마가 냉각 응고함에 따라 부피가 수축하여 생기는, 다각형 기둥 모양의 금.    우리말샘

주6

깎아 세운 듯한 낭떠러지.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