첩해몽어 ()

언어·문자
문헌
사역원에서 몽고어 초학자들을 위하여 간행한 교재. 몽골어학습서.
이칭
이칭
신번첩해몽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사역원에서 몽고어 초학자들을 위하여 간행한 교재. 몽골어학습서.
서지적 사항

4권 1책.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의 성립과정에 대하여 안명렬(安命說)의 <몽어노걸대서 蒙語老乞大序>에 한학(漢學)과 청학(淸學)에 능통한 사람들이 북경(北京)에 가서 난해한 것과 함께 법칙이 될 만한 것을 물어 가며 이룬 것을 다시 몽학(蒙學) 이세효(李世烋) 등을 보내어 고치게 한 것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한편 ≪통문관지 通文館志≫에는 1737년(영조 13)에 몽학관(蒙學官) 이세효 등에 의해서 간행되었으며(권8, 8장), 그해부터 ≪수성사감 守成事鑑≫ 등 이미 시용(時用)에 적합하지 않게 된 다섯 책을 폐하고 이 책으로 대신하게 하였다고 보인다(권2, 4장). 그 뒤 이 책은 1790년(정조 14)에 방효언(方孝彦) 등에 의하여 개정되었다.

내용

이익(李瀷)의 <몽학삼서중간서 蒙學三書重刊序>에 의하면 이 때에 ≪몽어노걸대≫와 ≪몽어유해 蒙語類解≫는 자음(字音)만 수정하였음에 대하여 ≪첩해몽어≫는 자음과 어투(語套)를 아울러 수정하였다고 한다. 오늘날 전하는 것은 모두 이 마지막 개간본이다. 규장각도서와 가람문고, 일본 동경의 도요문고(東洋文庫)와 동경대학 도서관의 오구라(小倉進平) 구장서(舊藏書) 등에 있다.

이 책에는 몽고어 문장을 몽고문자로 쓰고 그 옆에 한글로 발음을 표기하였으며, 문절이 끝나는 곳에 번역문을 싣고 있다. 몽고어의 초학서(初學書)로 편찬된 것으로, 그 내용을 보면 대체로 대화체로 되어 있으나, 다만 권1의 대부분과 권4의 끝 부분은 각각 권학(勸學)에 관한 글과 편지로 되어 있다. 우리나라 몽학의 업적으로서 ≪몽어노걸대≫·≪몽어유해≫와 함께 그 가치가 인정된다.

참고문헌

『몽학삼서연구』(김형수, 형설출판사, 1974)
「몽어노걸대연구」(이기문, 『진단학보』 25·26·27, 1964)
「몽학서연구의 기본문제」(이기문, 『진단학보』 31, 1967)
「捷解蒙語의 몽골語에 대하여」(菅野裕臣, 『朝鮮學報』 27,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