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 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조각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청암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조 불상.
이칭
이칭
청암사수도암약광전석불좌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菩薩坐像)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청암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조성된 석조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1.54m. 대좌와 광배를 완전히 갖춘 불상으로 그 조각 수법으로 보아 고려 초에 제작된 작품으로 생각된다. 머리 위에 문양 없는 관을 쓰고 있어서 보살형이 틀림없다. 하지만 법계정인(法界定印)의 수인 등으로 보아 보관을 쓴 태장계(胎藏界 : 法門의 하나) 비로자나불로 추정된다.

내용

현재는 마멸이 심하지만 얼굴 모습이 단정하고 온화하며 머리 위에 원통형의 관을 쓰고 있다. 그 관은 같은 시대에 제작된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이나 한송사 석조보살좌상, 관촉사 미륵보살입상 등의 관처럼 그렇게 높지는 않고 오히려 신복사지 석불좌상의 관에 가까운 넓적하고 둔한 모습이다.

이마 한 중앙에는 큼직한 백호(白毫 : 부처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가 표현되었다. 가는 눈, 비교적 오뚝한 코, 두툼한 입술 등은 팽창된 뺨과 함께 온화한 인상을 준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얼굴 표현은 평판적이며 약간은 둔한 느낌을 주고 있다. 목에는 삼도(三道)가 표현되었고 두 귀는 길어서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통견의 법의로 감싼 신체는 생동감이 없고 위축된 모습을 보여 준다. 그리고 신체의 굴곡이 별로 표현되지 않은 평판적인 조각 기법을 보여 준다. 가슴 가운데를 ∧형으로 굴곡을 주어 젖가슴의 근육을 표현하려고 한 시도가 엿보인다.

옷주름은 상하가 모두 평행한 옷주름 선으로 3, 4줄씩 표현되었으나 도식적으로 흐르고 있고 각선(刻線)은 얕은 편이다. 두 손은 무릎 위로 나란히 모아 법계정인을 취하고 보주(혹은 꽃) 같은 것을 잡고 있다. 이 두 손의 조각 수법은 다른 어느 곳보다도 퇴화된 형식적인 기법을 보여 준다.

광배는 주형(舟形)이나 오히려 보주형(寶珠形)에 가깝다. 두광의 가운데에는 무문단판(無文單瓣)의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그 주위 및 신광 내에는 사슬형의 덩굴무늬가 배열되었다. 두광·신광의 외연부에는 C자를 거꾸로 놓은 모양의 불꽃무늬가 조각되었는데 약간 형식화된 모습이다.

대좌는 1.22m에 달하는 방형 대좌(方形臺座)로서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에는 각 면에 3엽, 모서리 1엽씩 모두 16엽의 복판연화문(複瓣蓮花文 : 겹잎의 연꽃잎무늬)이 앙련(仰蓮)으로 조각되었다. 중대도 방형으로 각 면에 길쭉한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하대는 위에 3단의 각형(角形) 받침을 마련하여 그 아래에 상대와 동일한 복연화(覆蓮華)를 배치하였다. 같이 모셔진 비로자나불의 형태를 따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불상은 전체적으로 볼 때 신체가 위축되어 긴장감이 없는 느슨한 표현이라든지 옷주름의 도식적인 표현, 광배 및 대좌 등 전반적으로 형식화된 조각 기법을 보여 준다. 그래서 고려 초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수도암석조비로사나불좌상』(이홍직, 『사학연구』2, 한국사학회, 1958)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정밀실측조사보고서』(김천시, 201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