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 참외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공예
유물
문화재
고려 시대의 상감청자 병.
이칭
이칭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과형 병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상감청자 병.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참외 모양의 병은 중국 당대(唐代)에 비롯되었으나 고려 시대에 이르면 좀 더 한국적인 모습으로 변화한다. 이 병은 긴 목을 따라 아가리가 나팔처럼 벌어져 가장자리가 밖으로 젖혀져 있으며, 목의 중간부에는 두 줄의 가로줄이 백토로 상감되어 있다.

몸체는 참외 모양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패인 골로 여덟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목과 몸체의 연결 부위는 볼록한 선으로 둘러 확실한 경계를 지어준다. 목의 바로 아래에는 8개의 여의두문(如意頭文)이 백상감되어 둘러져 있다.

여덟으로 나누어진 몸체의 중간부에는 흑백상감으로 8개의 면에 각각 모란문과 국화문을 번갈아가며 1구씩 장식하였고, 몸체의 아래쪽에는 앙련(仰蓮)이 흑백상감되었으며, 앙련문대를 따로 구분짓는 선을 그어주고 있다. 몸체와 굽 역시 굵은 돌대선으로 구분되었고, 병의 바닥까지는 주름치마와 같은 모양을 하였다.

유약은 그다지 고르게 입혀지지 않았고, 그 색깔도 조금 어두운 기색이 있으나 전체적인 비례나 균형에 있어 안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병 종류는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가마터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생각되며, 형태가 같은 것으로는 국보 제94호인 청자 참외모양 병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 국보 도자기 및 기타』(문화재청, 2011)
『문화재대관』-국보 2-(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