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표주박 형태의 병에 주구(注口)와 손잡이를 갖춘 주전자이다. 몸체는 표주박처럼 아래위의 두 부분으로 나뉘었고 윗부분에는 수구(水口)와 뚜껑을 갖추었는데, 뚜껑의 옆면과 수구에는 돌아가면서 뇌문(雷文)을 새겼다.
수구 부분에는 복판(複瓣)의 연잎이 흑백상감으로 묘사되었고 그 아랫부분에도 그려져서 각 부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목의 윗부분은 흑백상감으로 운학(雲鶴)을 그려넣었고, 목은 잘록하여 인체의 허리를 연상하게 하는데 이 부분은 골이 지게 패어 주름이 잡혀 있는 듯하다.
병의 아랫부분 몸통에는 활짝 핀 모란과 피지 않은 봉오리, 이파리들이 꽉 짜여진 채 전면을 장식하고 있어 일종의 리듬감마저 느끼게 한다. 이 부분은 표현기법상 중심 소재인 모란꽃과 잎들은 제외하고 그 바탕이 되는 부분을 백토로 메워서 나타내고자 하는 문양이 태토의 색깔대로 드러나게 되는 역상감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 유려한 손잡이와 주구가 시작되는 몸통의 경계에서는 백토로 점을 찍는 퇴화(堆花) 기법도 보인다. 기형과 유색 등으로 볼 때 선이 매우 우아하면서도 안정감을 주며 은근한 빛을 머금어 고려적인 조형성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