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 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 주박 )

목차
관련 정보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시대의 청자 주전자.
이칭
이칭
청자 상감모란문 표형 병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靑磁 象嵌牡丹文 瓢形 注子)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시대의 청자 주전자.
내용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표주박 형태의 병에 주구(注口)와 손잡이를 갖춘 주전자이다. 몸체는 표주박처럼 아래위의 두 부분으로 나뉘었고 윗부분에는 수구(水口)와 뚜껑을 갖추었는데, 뚜껑의 옆면과 수구에는 돌아가면서 뇌문(雷文)을 새겼다.

수구 부분에는 복판(複瓣)의 연잎이 흑백상감으로 묘사되었고 그 아랫부분에도 그려져서 각 부분의 경계가 되고 있다. 목의 윗부분은 흑백상감으로 운학(雲鶴)을 그려넣었고, 목은 잘록하여 인체의 허리를 연상하게 하는데 이 부분은 골이 지게 패어 주름이 잡혀 있는 듯하다.

병의 아랫부분 몸통에는 활짝 핀 모란과 피지 않은 봉오리, 이파리들이 꽉 짜여진 채 전면을 장식하고 있어 일종의 리듬감마저 느끼게 한다. 이 부분은 표현기법상 중심 소재인 모란꽃과 잎들은 제외하고 그 바탕이 되는 부분을 백토로 메워서 나타내고자 하는 문양이 태토의 색깔대로 드러나게 되는 역상감 기법을 사용하였다.

또 유려한 손잡이와 주구가 시작되는 몸통의 경계에서는 백토로 점을 찍는 퇴화(堆花) 기법도 보인다. 기형과 유색 등으로 볼 때 선이 매우 우아하면서도 안정감을 주며 은근한 빛을 머금어 고려적인 조형성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국보』-청자·토기-(최순우 편, 예경산업사, 1986)
『한국의 미』-청자-(최순우 감수, 중앙일보사,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