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수병 ()

현대문학
문헌
삼애사에서 구자운의 시 「청자수병」 · 「벌거숭이 바다」 · 「봄」등을 수록하여 1969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삼애사에서 구자운의 시 「청자수병」 · 「벌거숭이 바다」 · 「봄」등을 수록하여 1969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B6판. 88면. 1969년 삼애사(三愛社)에서 발행되었다. 저자의 유일한 시집으로 알려졌으나, 앞서 프린트판으로 A5판 50면의 『처녀승천(處女昇天)』이라는 시집을 낸 바 있다. 발행처나 발행연도조차 밝혀지지 않은 것으로 문단 선배에게 기증한 것이 발견되었다.

내용

『청자수병』에는 「청자수병」·「벌거숭이 바다」·「너희들 잠에서 깨어날 때」 등 34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서문이나 후기는 없다.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청자수병」을 비롯한 대다수의 작품들은 우리나라의 전통적 소재를 아름다운 언어의 조탁(彫琢)으로 현대적 감각에 조화시켰다.

시어에 있어서도 ‘아련히’·‘슴슴이’·‘아롱아롱’·‘둥긋이’·‘애설푸레’·‘아렴풋’ 등 청자물병이 풍기고 있는 질감이나 색감을 감각적으로 표출하여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최대한으로 추구하였다.

의의와 평가

정물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단순한 데생에 그치지 않고 꿈틀거리는 삶을 담고 있다는 데에서 이 시인의 역량을 볼 수 있다. 언어구사에 있어 때로 고어투를 쓰기도 하고 종결어미를 문어체로 쓰기도 하는 등 세심한 배려로 효과를 거두면서 독특한 내재율을 창출하고 있다.

4·19와 5·16을 겪고 난 뒤로 사회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여 「봄」이나 「우리들은 샘물에」 등에서는 시민의식을 표현하고 있다. 소아마비로 다리를 절고 불안정한 생계로 기구한 일생을 살면서도, 시에 대한 정열은 매우 치열하여 주옥 같은 시편들을 남겨놓았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의 형상과 비평』(최원규, 문학예술사, 1985)
『한국현대시의 현장』(정한모, 박영사,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