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양각 연지어문 화형 접시 ( )

목차
관련 정보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
공예
유물
국가유산
고려 시대의 청자 접시.
이칭
이칭
청자양인각파어포련문접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자 양각연지어문 화형 접시(靑磁 陽刻蓮池魚文 花形 ?匙)
분류
유물/생활공예/토도자공예/청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90년 05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55길 60-16, 삼성미술관 리움 (한남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시대의 청자 접시.
개설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9㎝, 입지름 16.1㎝, 밑지름 6.1㎝.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내용

그릇의 밑바닥이 거의 수평으로 퍼졌다가 다시 비스듬히 벌어져 올라간 넓적한 접시이다. 안바닥이 편평하며 그릇 두께가 얇아 청동제 접시같이 날렵하게 생겼다.

아가리 끝의 여섯 군데에 조금씩 홈을 내어 6판화형(六瓣花形)으로 만들었고, 그릇 외면에는 아가리의 홈에 맞추어 아래로 길게 6개의 음각선이 그어져 있다. 이러한 화형접시는 고려 초기의 특징적인 화형접시에서 변화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릇 내면에는 마치 비단에 무늬를 넣은 듯 섬세하고 정교한 최상급의 양각문양들이 시문되어 있다.

편평한 바닥면에는 물속에서 놀고 있는 3마리의 물고기 문양이 있고, 측면에는 희미한 백토선(白土線)을 그어 6개의 문양 칸을 만든 다음, 그 속에 연지포류수금문(蓮池蒲柳水禽文)을 배열하였다. 이들 문양들은 압출양각기법으로 문양만 도드라지게 나타냈는데, 손으로 하나하나 조각한 듯이 정교하고 치밀하면서도 부드럽고 우아하다.

접시의 전면에는 맑고 반투명한 아름다운 비색유(翡色釉)가 얇고 고르게 시유되어 있는데, 이 유층(釉層) 사이로 시정(詩情) 넘치는 연당(蓮塘) 풍경이 은은하게 보인다. 굽은 다리굽으로 굽 안바닥까지 시유되었고 접지면의 유약은 훑어내었다. 접지면의 여섯 곳에 백색 내화토 받침을 받쳐 번조했던 흔적이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보물: 토기·도자기』(문화재청, 2015)
『고려청자명품특별전』(국립중앙박물관, 198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