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높이 27.7㎝, 입지름 5.3㎝, 밑지름 10.6㎝.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작고 나지막한 반구형(盤口形: 아가리 부분이 직립하며 그 아래로 직각에 가깝게 꺾여 좁아드는 형태)의 입이 달린 전형적인 매병이다. 팽팽하게 벌어진 어깨가 부드럽게 S자 모양으로 흘러내려 부드러우면서도 균형이 잘 잡힌 형태를 보인다.
무늬는 음각기법만으로 표현되었는데, 어깨 위에는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 안에 연꽃이 화려하게 장식되었고, 밑둥에는 겹연판무늬와 번개무늬로 이루어진 문양대로 장식되었다. 이들 종속문양대(從屬文樣帶) 사이의 몸통 전면에는 연화절지문(蓮花折枝文)을 큼직큼직하게 네 곳에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치하였다. 연꽃 · 연잎 · 연줄기 · 연밥 등으로 구성된 드물게 화려하고 사실적인 연꽃무늬는 윤곽은 약간 굵게, 세부는 더욱 가늘게 음각으로 처리되었다.
밝고 투명하면서 차분한 느낌을 주는 비색유약을 전면에 고르게 시유(施釉)하였으며, 가는 음각무늬를 세부까지 은은하게 잘 살려내고 있다. 굽은 안다리굽이며 굽바닥에 내화토(耐火土)받침 흔적이 희미하게 남아 있고 바닥 한 모서리에 ‘孝文(효문)’이라는 음각 명문이 있는데, 이 명문은 당시 도공(陶工)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이런 파편들이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유천리 가마터에서 여러 점 발견된 바 있다.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은 형태 · 무늬 · 유색이 우수하며, 바닥에 도공의 이름으로 여겨지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유사한 고려청자 피편들이 출토된 사례를 통해 제작지까지 파악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