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저집 ()

목차
관련 정보
청저집 / 이영도
청저집 / 이영도
현대문학
문헌
문예사에서 이영도의 시조 59편을 수록하여 1954년에 간행한 시조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문예사에서 이영도의 시조 59편을 수록하여 1954년에 간행한 시조집.
개설

B6판. 1954년 문예사(文藝社)에서 간행되었다. 작자의 첫 시조집으로 장정과 구성은 시조시인 김상옥(金相沃)이 하였다. 책머리에 자서(自序)가 있으며 구성은 5부로 나뉘어 총 59편이 실려 있다.

내용

제1부에 「봄」·「춘소(春宵)」·「개구리」·「국화」 등 11편, 제2부에 「아침」·「바다」·「먼 생각」·「매미의 노래」 등 15편, 제3부에 「연(蓮)꽃」·「화관(花冠)」·「무지개」·「새벽달」 등 13편, 제4부에 「인경」·「고가(古家)」·「열녀비(烈女碑)」·「폭포」 등 8편, 제5부에 「맥령(麥嶺)」·「어디로 가야 하리」·「안타까움」·「병상(病床)」 등 12편이 수록되어 있다.

자서에서 “이 분하고 슬픈 동경이 무슨 증세처럼 앓려질 때 이 시조를 써온 것이니 하잘것 없는 노래쪽인즉, 그대로 호젓한 생애의 반려요 의지였다.”고 말하고 있다. 자기의 수줍은 분신을 옥빛 ‘모시치마’로 단장시켜 세상에 내보내어 남앞에 온갖 애환을 호소하는 것 같아 민망하기도 하지만, 지난날의 자신을 만나보는 것 같고, 그 ‘모시치마’에게 눈부신 광명을 향하여 나부끼는 새 의상을 입혀야겠다는 과제와 결의를 다지기도 하였다.

권두시 「봄」은 “낙수소리 듣자 미닫이를 열뜨리니/포근히 드는 볕이 후원에 가득하고/제가끔 몸을 차리고 새움들이 돋는가”라고 되어 있는데, 저자는 여기서 어떠한 거창한 주제의식을 형상화하기보다는 인간의 일상적 삶을 여성특유의 섬세한 감각과 정감을 기조로 맑고 고운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적 여성의 기다림과 안타까움, 소박하고 연연한 정(情)이 흘러 넘치는가 하면, 고독과 깊은 사념(思念)의 시세계를 이룩하고 있다.

참고문헌

『머나먼 사념의 길목』(이영도, 중앙출판사, 197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