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2㎝, 입지름 13.6㎝, 밑지름 4.3㎝. 개인 소장.
바깥 측면이 굽다리 근처에서 꺾여 올라가는 절요형식(折要形式)으로, 측면이 가파른 사선으로 뻗어 오르다가 위에서 완만하게 벌어졌다.
그릇 테두리와 외면은 물론 접시 내면과 굽의 바깥 측면까지 모깎기하여 8각으로 만들었는데, 형태가 단아하고 굽도 잘 정리되어 있다. 문양은 접시 안의 바닥면에는매월문(梅月文)이 한쪽에 치우쳐 표현되어 있고, 바깥 면에는 기면(器面)에 꽉 차게 십장생문(十長生文)이 능숙한 필치로 장식되었다. 청화의 발색(發色)은 밝은 편이다.
유약(釉藥)은 담청색(淡靑色)을 띤 투명한 백자유로 굽 안바닥까지 두텁게 시유되었지만 유면(釉面)이 고르지 않아 군데군데 유약이 뭉쳐 푸른색을 띠고 있으며, 빙렬(氷裂)은 없으나 내면과 외면에 균열이 산재되어 있다. 굽은 단면이 역사다리꼴로 깎음새가 단정하며, 가는 모래받침을 받쳐 구운 흔적이 남아 있다.
유태(釉胎)나 모깎기한 기형, 청화문양 등으로 보아 18세기 중·후반경에 경기도 광주의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유례가 드문 팔각접시에 매월과 십장생의 청화 문양이 있는 희귀한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