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계문집 ()

목차
관련 정보
총계문집
총계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동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조동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활자본. 1934년 종손 남옥(南鈺)과 4종질 현구(顯九)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익(權相翊)의 서문, 권말에 조승연(趙昇衍)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480수, 권3에 서(書) 26편, 권4에 서(書) 4편, 제문 8편, 권5에 제문 2편, 고유문 11편, 행적 2편, 유사 1편, 묘지 2편, 기(記) 2편, 서(序) 1편, 설(說) 2편, 권6에 명(銘) 1편, 찬(贊) 1편, 잡저로 시평(詩評)·가승쇄록(家乘瑣錄)·만록(漫錄)·제후(題後) 등, 부록으로 만사 10여편, 제문 2편, 가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의 「상낙파유상공후조(上洛坡柳相公厚祚)」는 유후조가 영남인으로서 정승에 오르자 이를 축하한 내용이고, 명의 「자저총명(自著塚銘)」은 자신의 묘비문이다. 태고시대를 그리는 사람이 난세에 태어나 교악 같은 기개가 먼지 속에 스러져가는 불우를 자탄하고 있다.

잡저 중 「시평」은 작시(作詩)에 대한 평론이다. 시란 글귀를 연마하고(鍊句), 글자를 연마하고(鍊字), 격을 연마(鍊格)하여야 한다는 삼련설(三鍊說)을 주장하면서 아울러 그 방법까지를 제시하고 있다.

또 「만록」에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思悼世子)를 높이지 않고 큰아버지격인 효장세자(孝章世子)를 높인 일은 의리에 맞지 않는다는 것과, 최익현(崔益鉉)이 대원군(大院君)을 탄핵한 상소문은 그 의리는 뛰어났으나 너무 작은 일들에 대한 언급이 많아 의리가 묻혔다는 등의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