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찬식 ()

추월색 / 최찬식
추월색 / 최찬식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추월색」, 「능라도」, 「춘몽」 등을 저술한 소설가.
이칭
이칭
찬옥, 해동초인, 동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1년(고종 18)
사망 연도
1951년
본관
경주
출생지
경기도 광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추월색」, 「능라도」, 「춘몽」 등을 저술한 소설가.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옥(贊玉), 호는 해동초인(海東樵人)·동초(東樵). 경기도 광주 출신. 아버지는 개화기 언론인인 영년(永年)이며,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릴 때에는 광주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공부하여 사서삼경까지 마쳤고, 갑오경장 후 1897년 아버지가 광주에 설립한 시흥학교(時興學校)에 입학, 신학문을 공부하였다.

뒤에 서울로 올라와 관립한성중학교(官立漢城中學校)에서 수학하였다.

신학문을 공부하고 문학에 뜻을 두어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說部叢書)』를 번역한 뒤 우리 나라 현대소설의 토대가 된 신소설 창작에 착수하였다. 『자선부인회잡지』 편집인과, 『신문계(新文界)』·『반도시론(半島時論)』 등의 기자노릇을 하였다.

말년에는 뚝섬에 있는 그의 농장에서 최익현(崔益鉉)의 실기(實記)를 집필하였으나 끝내지 못하고 죽었다. 대표작으로 꼽히는 「추월색(秋月色)」(1912)을 비롯하여, 「안(雁)의 성(聲)」(1914)·「금강문(金剛門)」(1914)·「도화원(桃花園)」(1916)·「능라도(綾羅島)」(1919)·「춘몽(春夢)」(1924) 등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으나, 이들은 한결같이 이성간의 애정문제를 다룬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중심은 민족의식이나 자주독립 등의 정치적인 면보다 애정문제, 풍속적 윤리·도덕문제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도 신식결혼관이나 연애가 표면적으로만 등장할 뿐, 궁극적인 주제는 고대소설적인 윤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찬식의 소설은 당대 신소설의 한계 및 통속화 현상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신문학과 시대의식』(김열규·신동욱, 새문사, 1981)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조동일,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3)
「최찬식 소설의 사회적 성격」(유양선, 『한국현대소설사연구』, 민음사, 1984)
「최찬식소설의 구조」(김용구, 『관악어문연구』8,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
「해동초인소고」(하동호, 『시문학』52, 1975.11.)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