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령 구조곡 ( )

자연지리
지명
광주산맥과 마식령산맥 사이 대략 서울∼원산을 잇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선곡(斷層線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광주산맥과 마식령산맥 사이 대략 서울∼원산을 잇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단층선곡(斷層線谷).
명칭 유래

추가령이라는 지명은 이 열곡의 중북부에 위치한 북한의 강원도 고산군 삼방리와 세포군 세포리 사이의 용암대지에 개석된 단애에서 기원한 것으로 이 지역은 분수계는 아니지만 일반인들에게 고개로 인식되고 있다.

형성 및 변천

과거에는 이 구조곡의 방향과 나란히 다수의 정단층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근거로 단층에 의해서 형성되는 지구대와 동일시하여 이 구조골짜기를 지구대라 하였다.

그러나 그 뒤에 이루어진 조사에 의하면 이 지대가 저지대로 된 것은 중국방향의 단층선에 연하여 화강암이 관입(貫入)하고, 이 화강암이 그 양측의 접촉변질(接觸變質)된 변성암을 주로 하는 고기암층에 비하여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기 때문에 차별침식(差別浸蝕)을 받은 결과로 지구대와 같은 지형이 형성된 것이다. 그 밖에 지구대로 인정될만한 단층운동의 증거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신생대 말기에 해당하는 제4기에 평강에서 남서쪽으로 3㎞에 위치한 오리산(454m)을 중심으로 구조선을 따라 용암이 열하분출되어 이른바 철원 · 평강 용암대지를 형성하였으며, 이 용암은 열곡을 따라 북쪽으로는 남대천을 따라 북한의 강원도 고산군 북부일대까지, 남쪽으로는 한탄강과 임진강을 따라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일대까지 흘러내렸다.

이 용암 분출로 인하여 이 구조곡을 따라 북동쪽으로 흐르는 안변 남대천과 임진강의 지류 평안천(平安川)간의 하천쟁탈현상이 있었다. 즉, 남대천은 옛 분수령으로부터 남으로 21㎞ 정도 연장되었는데, 이는 남대천이 옛 분수령 이남의 평안천 상류부를 쟁탈한 결과이다.

평안천의 상류부를 쟁취한 남대천은 이 구조선의 북쪽 부분을 따라서 거의 직선상으로 흐르고, 하곡을 깊게 하각(下刻)하여 석왕사곡(釋王寺谷) · 삼방협곡(三防峽谷) 등 깊은 협곡을 만들고 있다. 특히, 삼방협곡에는 지형적 이점을 이용하여 과거 통행인을 검문하는 3개소의 관방(關防)이 설치되어 있었고, 삼방협곡이라는 이름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다.

현황

이 구조선은 우리나라의 지체구조(地體構造)를 남북으로 이등분하는 경계선이 되어 그 북쪽은 랴오둥 방향의 구조가 탁월하고, 남쪽은 중국방향의 구조가 탁월하다. 이 지역은 안변 남대천, 북한강, 임진강, 한탄강 유역이 접하는 복잡한 분수계 혼란 지역으로 분수계의 핵심은 평강의 오리산이며 이를 중심으로 4개의 분수계가 갈라지는 분수점 기능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지리지』강원편(국토지리정보원, 2006)
「추가령 열곡 연천 고호소층의 퇴적물 기원지 분석」(이민부ㆍ이광률ㆍ김남신, 『대한지리학회지 42(1)』, 2007)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이민부ㆍ이광률ㆍ김남신, 『대한지리학회지 39(6)』,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