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泰山)과 인의(仁義)가 합쳐서 생긴 지명이다. 태산현은 백제 때 대시산(大尸山)이었는데 663년(풍왕 3) 당나라 치하에서 대산(帶山)으로 개칭하여 고사주(古四州)의 영현(領縣)이 되었으며 757년(경덕왕 16) 대산(大山)으로 고쳐 전주도독부(全州都督府) 관내 군으로, 정읍현 · 빈성현(斌城縣) · 야서현(野西縣)을 관장하였다.
인의현(仁義縣)은 백제 때 빈굴양(賓窟壤)이었는데, 757년빈성으로 개칭하여 대산군의 영현이 되었으며 940년(태조 23)인의로 바뀌었다. 두 현은 고려 시대에 고부군의 임내(任內)였으며 1354년(공민왕 3)대산군에 감무관(監務官)을 두어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현을 편입하였다가 곧 분리하였다.
1409년(태종 9)인의현이 태산군에 병합되어 태인현으로 바뀌었고 현의 치소를 거산역(居山驛)으로 옮겼으며 1413년에 현감을 두었다. 임내였던 능(綾) · 나향(羅鄕)과 대곡(大谷) · 개문(開門) · 도전(桃田) 부곡은 조선 초기에 직촌(直村)이 되었다. 이들은 1895년(고종 32)에 군이 되어 전주부(全州府)에, 이듬해에는 전라북도에 속하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정읍군에 병합되어 태인면이 되었다.
또한 1995년에는 정읍군과 정읍시가 통합되어 정읍시가 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이 지역이 동진강(東津江) 지류인 대각천(大角川)지역의 이평(梨坪)에 자리잡고 있었다. 이평은 배들〔舟坪〕과 같은 음에서 나온 것으로 배들평야에 조수(潮水)가 들어와 배가 드나들 수 있다는 데서 나온 지명이다. 호남평야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어 이곳에서 생산되는 곡물은 남창(南倉) · 산창(山倉) · 창삼(倉三) 등에 모아 서해로 보냈다.
당시에는 이곳이 부안 · 고부 · 정읍 · 김제 · 금구 · 임실 · 순창 등지와 연결되는 도로가 발달하여 호남평야 지역의 교통 중심지였다. 또한 거산역이 있었다. 한편 고려 말에는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곳이었다. 고태산에는 잠실(蠶室)이 있었고 최치원(崔致遠) · 정극인(丁克仁)을 모신 무성서원(武城書院)이 있었다. 그리고 산외면 동곡(東谷)에는 전봉준(全琫準)이 살던 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