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평산읍지』가 국사편찬위원회에, 1899년에 편찬된 『평산읍지』가 장서각도서에 있으며, 연대 미상의 『평산부읍지』가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구성은 진관(鎭管)·방리(坊里)·도로(道路)·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단묘(壇廟)·공해(公廨)·창고(倉庫)·물산(物産)·교량(橋梁)·역원(驛院)·봉대(烽臺)·누정(樓亭)·사찰(寺刹)·고적(古蹟)·진보(鎭堡)·장절(壯節)·인물(人物)·한전(旱田)·수전(水田)·진공(進貢)·조적(糶糴)·전세(田稅)·대동(大同)·균세(均稅)·봉름(俸廩)·군병(軍兵) 등으로 되어 있다.
채색지도에는 산천과 사찰, 면의 경계, 창고·온천·서원·산성 등이 상세히 실려 있다. 진관조에는 경계와 서울, 감영, 병영과의 방향·거리·시간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방리조의 호구수는 경자장적(庚子帳籍)을 따라서 편호와 남녀별로 구분되어 있다. 관직조는 속오군(束伍軍) 체제가 반영되어 있다. 산천조에는 많은 시와 고려 태조와 관련된 전설이 실려 있다.
고적·인물·단묘조에는 신숭겸(申崇謙)·복지겸(卜智謙) 등의 고려 개국공신들에 관한 기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