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768년(영조 44)에 편찬된 『기천지(基川誌)』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내용구성은 군계(郡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관직(官職)·성씨(姓氏)·풍속(風俗)·방리(坊里)·호구(戶口)·전부(田賦)·군액(軍額)·창고(倉庫)·조적(糶糴)·관방(關防)·봉수(烽隧)·학교(學校)·단묘(壇廟)·태실(胎室)·총묘(塚墓)·불우(佛宇)·공해(公廨)·누정(樓亭)·도로(道路)·교량(橋梁)·제언(堤堰)·장시(場市)·역원(驛院)·목장(牧場)·형승(形勝)·고적(古蹟)·토산(土産)·진공(進貢)·봉름(俸廩)·환적(宦蹟)·과거(科擧)·인물(人物)·제영(題詠)·책판(冊板) 등으로 되어 있다.
조적과 과거조는 1871년(고종 8)에 편찬된 『영남읍지』와 변동된 것이 있고, 갑오폐지, 기사훼폐(己巳毁廢) 및 금폐(今廢) 등으로 나타내었다. 역원·환적조가 추가되었다.
호구수는 1899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전부조 안에 수전(水田)·한전(旱田)·전세(田稅)·대동(大同)·균세(均稅) 등이 포함되어 있고, 군액·창고조 등의 지방재정 내용이 상세하다.
향교조에는 주세붕(周世鵬)과 소수서원에 관한 기록이 충실하고 공해·누정·고적조 등에서 유교도덕을 선양하는 내용이 많다.
전결수(田結數)·전세·대동은 무신년(戊申年, 1848)과 무술년(戊戌年, 1898)을 모두 기록하고 있다.